위로가기 버튼

아파트에 유기견 무리 출몰… 주민들 ‘벌벌’

김재욱기자
등록일 2022-10-25 20:28 게재일 2022-10-26 4면
스크랩버튼
대구 동구, ‘불안 호소’ 민원에도<br/>야생동물에 해당 안돼 사살 못해<br/>소방·동물보호센터와 생포 예정

대구 한 아파트 단지에 야생들개 무리가 출몰해 주민들이 불안감에 휩쌓이고 있다. 들개 무리의 공격을 받게 되면 크게 다치거나 자칫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만큼 주민들이 지자체 등에 해결 방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25일 대구 동구에 따르면 대구 동구 혁신도시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에서 유기견으로 추정되는 ‘들개’무리가 등장해 위협을 느꼈다는 민원이 수차례 접수됐다.

하지만 지자체 입장에서는 골머리만 앓고 있다.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유기견은 야생멧돼지와 다르게 사살이 불가하다. 유기견의 경우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에 해당하는 유해 야생동물에 해당하지 않아 사살할 수 없다. 또 동물보호법상 구조·보호 조치 대상으로 지정돼 있기에 사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출몰하는 지역 내 설치할 수 있는 포획틀도 단 한 개 뿐이기 때문이다. 동구 외에도 남구, 북구, 달서구 등 4개구에서 대구유기동물보호센터를 공동 위탁 운영하다보니 한 개만 놓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있다.

사실상 대구지역에서 들개 포획은 마취 총이 있는 소방본부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이지만 동구 입장에서는 손 놓고 기다릴 수 없기에, 민원이 접수된 혁신도시 일대에 대구 유기동물보호센터와 협조 후 포획틀을 마련해 설치에 나섰다. 임시방편을 펼쳐 놓은 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단 이 포획틀 역시 이동반경이 넓은 유기견의 특성상 포획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빠른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다.

혁신도시에 거주하는 이모(33·여)씨는 “혁신도시는 젊은 도시이다 보니 신혼부부도 많고, 아이들도 많은 동네인데 덩치 큰 개들이 몰려다니다보니 큰 위협으로 느껴진다”며 “성인들도 저 개들이 공격하면 크게 다칠 것 같은 상황인데 아이들은 더욱 위험에 노출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지자체 단독으로 처리하기 힘들면 소방 및 전문가를 투입해서라도 빠르게 처리해야 주민들이 마음을 놓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동구 관계자는 “동구에는 현재 유기동물 포획팀을 구성할 수도 없는 상황이며, 관련 법에 따라 무조건 생포를 해야 하다보니 쉽지 않은 현실”이라며 “하지만 주민들의 안전이 최우선인 만큼 이른 시일 내 포획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구소방본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대구지역 내 개 포획 출동건수는 총 820건에 달한다. 한 달 평균으로는 91건이며, 대구소방은 하루 평균 3회가량 개 포획을 위해 출동하고 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