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남노’ 포항 급습 한 달, 1천여 가구 잠긴 대송면 제내리 가 보니 <br/> 흙탕물 휩쓸고 간 집안 곳곳에<br/> 새로 도배한 벽지 이내 ‘곰팡이’ <br/> 구석 쪽잠 자며 하루하루 버텨 <br/> 재난지원금 최고 200만원 불과<br/> 청소조차 턱없이 부족 복구 막막<br/> 복지관 텐트 생활 31가구 54명<br/> 대피소 운영 종료 조짐에 ‘불안’<br/>“제발 외면하지 말아 달라” 호소
“이번 태풍으로 평생 모은 살림살이가 모두 날아가 버렸지. 태풍은 소멸했지만, 도대체 이 고통은 언제쯤 사라질까 도무지 희망이 보이지 않아”
역대급 태풍 ‘힌남노’가 포항을 할퀴고 지나 간지 한 달여의 시간이 흐른 6일 포항시 남구 대송면 제내리 일대는 피해 복구 작업이 한창이었다.
이곳은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지난달 5일과 6일 이틀간 453mm의 물 폭탄을 뿌리고 지나가면서 칠성천이 범람해 거주하고 있는 1천135가구 중 90% 이상이 침수피해를 입었다.
집들의 1층 외벽은 곳곳이 떨어져 나가 흉물스러운 모습이었고, 몇몇 작업자들이 주택 수리작업을 하느라 정신없이 바빴다. 마을 주민들은 비에 젖어 더 이상 쓸모가 없게 된 가재도구를 마대 자루에 담아 버렸고, 골목마다 장롱과 벽지, 장판 등 쓰레기들이 산처럼 쌓여 있었다. 한집 건너 한집 꼴로 수리 작업을 진행했고, 마을은 침울한 분위기였다.
포항시가 응급복구 완료율이 99.9%를 달성하며 사실상 복구 완료를 선언했지만, 수해 현장의 마을 주민들은 현재까지도 악몽의 순간을 잊지 못한 채 하루하루 고통 속에서 살고 있었다.
이날 이곳에서 만난 김준일(76)씨는 도배와 장판 교체작업을 진행하며 새롭게 구매한 가전을 집에 넣고 있었다.
그는 이번 침수피해로 인해 가재도구와 집기 등을 하나도 쓸 수 없게 됐다. 그는 ‘태풍이 훑고 지나가고 나와 아내 집 뼈대만 살아남았다’며 자조 섞인 목소리를 내뱉었다.
무릎 높이만큼 들이찼던 흙탕물이 빠지면서 벽지에는 곰팡이가 피면서 썩고 있었다. 새로 도배와 장판을 했지만, 벽면에 물이 스며들었던 부분이 또다시 습기가 들어차면서 집안 곳곳이 온통 곰팡이 투성이가 됐다. 그는 벽지를 다시 뜯어내고 선풍기, 보일러, 제습기 등을 틀어놓고 젖은 집이 마르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최근 일교차가 점점 커지며 날이 추워지고 있지만, 집안에는 곰팡이 등으로 악취가 진동해 창문도 닫지 못한 상황이다. 그는 방 한쪽 편의 시멘트 바닥에 종이박스를 쌓아 올린 뒤 그곳에 전기장판을 깔고 쪽잠을 자며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김씨는 “이제 날도 점점 추워지는데 10월 안으로 공사를 완료할 수 있을지 걱정이 된다”며 “태풍으로 내가 수십 년 동안 피땀 흘려 일궈 온 재산을 한 번에 다 잃게 돼서 너무나도 허무하다”라고 토로했다.
정부의 비현실적인 지원 대책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도 컸다. 포항시가 이번 태풍으로 침수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에게 재난지원금을 최대 200만원까지 지원하기 때문이다. 현실에 맞지 않는 지원금 때문에 당장의 생활도 어렵다는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주민 정모(68·여)씨는 “35평 집에 도배와 장판을 새로 까는 것에만 450만원이 들었는데, 겨우 200만원으로 도대체 무엇을 할 수 있겠냐”며 “시에서는 본질적인 지원 대책 마련에 대해서는 전혀 고민하지 않고, 시민들이 불만을 토로하니 ‘우는 아이 떡 하나 더 준다’라는 마음으로 지원을 해주는 것 같아 오히려 기분이 나쁘다”고 꼬집었다.
집 수리를 완료하지 못해 대송면 다목적복지회관에서 텐트 생활을 하는 31가구 54명의 마을 주민들의 근심은 점점 더 깊어만 간다. 포항시와 자원봉사단체가 끼니마다 밥을 제공하고 있지만, 오는 10일부터는 이들 지원도 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포항시의 이재민 대피소 운영을 서서히 종료하려는 것 같다’고 해석하고 있다.
마을 주민 김모(60)씨는 “날은 추워지는데 대피소마저 문을 닫아버리면 이재민들은 길바닥에 나앉아 생활해야 한다”며 “국가의 도움이 없으면 우리는 살아갈 방법이 없으니 제발 우리를 외면하지 말아 달라”고 호소했다. /이시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