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호 태풍 힌남노 내습으로 뿌리째 뽑힌 울릉도 관문 도동항 향나무에 대해 남부지방산림청(청장 남송희)이 전문가와 함께 현장 점검 처리 방안에 대해 대책을 논의한다.
남부지방산림청은 다음 달 6일 남 청장을 비롯해 산림경영과장 및 팀장 울릉사업소장, 국립 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임업연구사 울릉도에서 현장점검을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울진산림항공관리소 담당 헬기기장, 안전항공팀장 등이 참여하고 울릉군 농업산림과장, 담당 팀장, 산림전문가 경북대 오승환 교수, 울릉산악구조대 등이 참가 다양한 논의도 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피해 향나무의 생존 가능성 여부 확인 및 처리방안 논의, 생존 가능 시 향나무 생육환경보호를 위한 조치 방법 등에 대해 논의한다.
또 생존 불가능 시 항공 운반 처리(2차 피해방지 조치포함)절차, 피해 목을 활용한 앞으로 연구 방법(후계 목) 및 홍보방안 등에 대해 결정하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한 사전 조치로 드론 라이다 영상 취득이 필요한 것에 대비하고 울릉산악구조대 협조를 통해 현장 접근 및 작업 가능(톱 사동) 여부도 확인한다.
필요할 경우 처리 전 등반을 통해 향나무의 생육상태 확인 및 세부촬영도 진행한다. 또한, 울릉도에 작업이 가능한 헬기는 울진관리소에 임시 배치된 헬기를 사용할 계획이다.
한편, 태풍 힌남노에 의해 뿌리째 뽑힌 울릉도 도동항 향나무는 과거 울릉도 여객선이 도동항에서만 운항할 때 여객선에 입항 시 왼쪽 정면에 횐 색으로 우뚝 솟아 관광객을 반기며 수문장 역할을 했던 향나무다.
울릉도 관문 도동항 개항과 함께하며 자생한 이 향나무에 대한 수령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울릉도 도동항 같은 방향으로 좀 더 올라가면 우리나라 최고 수령으로 짐작되는 향나무가 있다.
이 향나무에 대해서도 정확한 수령은 알 수 없지만 2천 년에서 2천500년으로 추정돼 우리나라 생명체 중 가장 오래된것으로 알려져왔다
따라서 이번 제11호 태풍 힌남노에 의해 뿌리째 뽑힌 도동항 수문장역할을 한 이 향나무도 수령이 엇비슷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바람에 뿌리째 뽑힌 향나무를 통해 울릉도 도동항 입구에 흙 한 점 없는 화산 절벽에 자생하는 향나무의 생태와 나이를 짐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산림청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