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달을 향한 여정을 다시 시작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한국시간 기준 29일 오후 9시33분 달 주변 궤도를 비행할 우주발사체(SLS)‘아르테미스Ⅰ(1호)’를 발사했다. 지난 1969년 아폴로 11호를 타고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닐 암스트롱이 달에 첫발을 딛고, 그 3년 뒤 아폴로 17호가 마지막으로 달을 다녀온 지 50여년 만이다.
프로젝트명인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달의 여신으로, 지난 세기 미국의 달 탐사 프로젝트명이었던 태양신‘아폴로’의 누이 이름이다.
이번 아르테미스 계획은 총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아르테미스 1호는 총 42일 간의 비행을 거치게 되며, 2주 가량 달 궤도에서 임무를 수행한 뒤 10월10일 지구로 복귀하게 된다. 1단계 프로젝트에서는 진짜 우주비행사 대신 마네킹을 실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한다. 이후 2024년 2단계부터 실제 사람을 태우고 달 궤도를 다녀오게 되며, 2025년 3단계는 여성과 유색인종 등으로 구성된 우주비행사들을 달에 착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려 반 세기만에 미국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가 재가동되는 이유는 뭘까. 가장 큰 이유는 달의‘가치’가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세기의 유인 달 탐사는‘달에 가는 것’그 자체가 최종 목표였지만, 이번 아르테미스 계획부터는 달에 장기 체류용 기지를 구축하고 자원 확보·환경 조사·심우주 탐사 준비 등을 추진하는 것이다. 실제로 달이 인류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규모의 ‘광산’이 될 수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달에는 헬륨-3, 희토류를 비롯해 수십종의 희귀자원이 산재해 있다. 아르테미스 1호가 21세기 우주 경쟁의 신호탄이 될 지 주목된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