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저녁으로 기온이 제법 선선하다. 한더위가 물러가고 가을이 어느덧 우리 앞에 다가왔다. “모기 입이 삐뚤어진다”는 처서(處暑)가 지난 지도 일주일이 됐다. 다음 달 8일은 농작물에 흰 이슬이 맺힌다는 백로(白露)다.
가을의 기온이 완연해지고 오곡이 여물어가는 시절이다. 옛 속담에 “백로에 비가 오면 십리 천석을 늘린다”고 했다. 이때 비는 풍년이 들 징조로 여겼다는 것이다. 백로 이틀 뒤가 추석이다. 민족의 대명절인 이번 추석은 코로나 사태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없이 가족들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명절이라서 유난히 기대감이 크다. 모처럼 만에 온 가족이 만나 명절의 기쁨을 나누게 된다.
지금부터 벌초도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베어내고 묘를 깨끗이 하는 벌초는 보통 백중(음력 7월 15일) 이후부터 추석 전에 한다. 설과 한식에는 성묘는 하지만 벌초는 않는다. 설에는 벨 풀이 없고 한식에는 풀이 막 자라기 때문이다.
유교 사상에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 사람은 죽은 조상도 살아있는 사람처럼 잘 모시기 때문에 조상의 묘를 살피고 돌보는 일을 효행으로 생각한다. 벌초를 미리 해두지 않으면 불효로 여기기도 했다. 요즘은 바쁜 사정으로 대행업체를 이용해 벌초를 하는 가정도 많이 늘었다. 벌초가 끝나면 간단한 술과 과일을 차려놓고 재배도 한다. 이것 또한 묘제를 중시한 유교의 영향이다.
벌초와 관련한 속담 중에 “추석 전에 벌초를 하지 않으면 조상이 덤불을 쓰고 명절 먹으러 온다”는 말이 있다. 조상의 음덕을 잘 기리자는 뜻이다. 코로나에 지친 우리 마음을 위로해 줄 명절이 얼마 남지 않았다. 기왕이면 벌초도 잘해 기분 좋은 명절을 맞아야겠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