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부작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가 시청자들에게 감동과 생각거리를 주고 끝났다. 정주행은 하지 못했지만, 짧은 영상을 보다가 아주 인상적인 장면을 만났다. 18화에서 동네 형들이 동석에게 너를 이해한다면서 그래도 암에 걸린 엄마의 마지막 소원은 들어주어야 한다고 압박하자 동석이 소리지르는 모습이다. 동석 엄마는 남편도 죽고 딸도 바다에서 죽자 해녀를 할 수 없어 동석 친구의 아버지에게 첩으로 들어갔기에 동석은 엄마에게 원망이 깊은 상태다.
“형들은 형님 어멍이 형님 보는 앞에서 형님 친구 아방 방에 들어가서 불 딱 끄고 부스럭부스럭 이불 소리 내면서 자는 거 본 거 있어? 날 이해해? 뭘 이해해? 내가 제일 싫어하는 말이 이해한다는 말이야.” 나중에 동석은 선아에게 전화를 걸어 어멍이 종철 아방 첩으로 들어가면서 자기를 작은 어멍이라 부르라 했을 때 못한다고 하자 싸대기를 개 패듯이 팼다고 말한다.
이런 동석의 말을 듣자니, 일본의 유명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끼의 단편 소설 ‘타일랜드’가 생각난다. ‘타일랜드’의 주인공 사쓰키는 갑상선 전문의인데, 30년 전에 강제로 낙태한 일로 마음속에 돌이 박혀 있다. 사쓰키는 방콕에 갔다가 운전을 맡은 니밋의 소개로 점쟁이 노파를 만나게 된다. 점쟁이의 조언에 마음이 열린 사쓰키가 니밋에게 자신의 과거를 이야기하려고 하자 니밋은 말을 한다고 마음이 서로 통하는 일은 없다며 듣기를 거부한다.
같이 보고 겪은 일도 사람마다 이해하는 것이 달라 소통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동네 형들이 동석이 겪은 일들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아니 직접 보았다고 하더라도 어린 동석의 마음을 이해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니밋의 말이 극단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는 이해의 한계를 처절하게 체득한 사람일 뿐이다.
부모라도 자식의 마음을 알기는 쉽지 않다. ‘오은영의 금쪽같은 내 새끼’에는 자식을 이해할 수 없어서 상담을 청한 부모들이 나온다. 부모라도 자식의 사정을 시시콜콜 다 알 수 없고, 안다고 해도 자식의 감정을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니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오히려 이해한다는 말이 폭력일 때도 많다.
며칠 전, 친구가 희소암 치료를 위해 병원에 입원했다. 눈물이 났지만, 그저 내 맘대로 내 사정으로 흐르는 눈물일 뿐, 그가 느낄 황당함, 분노, 좌절감, 무력감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복잡한 감정을 이해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소통의 한계를 인정하면 이해받지 못할 것이라고 지레 좌절할 것도 아니고, 이해할 수 없다고 포기할 것도 아니다. 오히려 이때 뜻밖에 소통이 일어난다. 선아는 동석이 묵혀두었던 말을 다 하라고 응원하며 들어주었고, 니밋은 몇 번의 대화로 사쓰키의 고통을 눈치채고 점쟁이 노파에게 데려가 주었다. 그러고 보니, 병원에 입원한 친구를 위해서는 그가 얼마나 두려운지 얼마나 아픈지 말할 수 있게 나 자신이 의연해지는 방법도 있겠다. 그것은 분명 위로는 아니지만 위로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