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스 전투기는 상대의 레이더, 적외선탐지기, 음향탐지기 등 모든 탐지 시스템에 포착되지 않는 은폐기술을 갖춘 최첨단 전투기를 말한다.
세계 최초의 스텔스기는 1974년 미국이 개발한 F-117기다. 나이트호크라 불리는 이 전투기는 1989년 미군의 파나마 침공 당시 처음 실전에 투입됐다. 이후 1991년 걸프전에 모두 44대가 참전하여 단 한 대의 손실도 없이 혁혁한 전과를 올린 것으로 유명하다.
B-2는 스텔스폭격기고 F-22와 F-35는 스텔스전투기다. 우리는 2018년 3월 세계 최강 성능의 스텔스기인 F-35를 처음 도입했다. F-35는 최대 속도 마하 1.8로 전투반경만 1천93km 거리다. 공대공 미사일 등 엄청난 파괴력도 보유하고 있다.
유사시 북한의 방공망을 피해 내륙 깊숙한 지역까지 은밀히 침투해 핵과 미사일을 정밀 타격할 수 있어 북한의 김정은이 가장 두려워하는 전투기로 알려져 있다.
지난 7일 한미공군은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도발에 대응해 F-35 스텔스 전투기 등 20대를 동원해 서해 상공에서 대북 연합무력공중 시위를 벌였다. 합동참모본부는 “한미연합 방위능력과 태세를 보여줌으로써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신속하고 정확한 타격을 할 수 있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 했다.
북한의 7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한반도에서의 긴장감도 높아진다. 스텔스기로 무장한 한미연합 무력시위가 북한의 무모한 도발 행위를 얼마나 억제할지 알 수 없다. 다만 핵과 미사일에 집착하는 북한의 생각을 바꾸게 하는 강력한 수단이 된다면 다행이다. 새 정부는 스텔스기로 무장한 훈련을 통해 강력한 대북 정책의 일단면만 선보인 셈이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