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모기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괴로워지는 사람들이 바로 스키터 증후군 환자들이다. 스키터 증후군은 모기에 물렸을 때 남들보다 훨씬 심하게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화끈거려 고생하는 증상을 가리킨다.
모기는 흡혈하면서 자신의 타액을 우리 몸에 남기는데, 우리 몸속 면역세포는 모기의 타액을 위험한 외부 물질로 인식하면서 가려움을 유발하는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스키터 증후군을 앓는 사람들은 이 알레르기 반응이 매우 심하게 나타난다. 모기 물린 자국을 보고 스키터 증후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부기, 지속 기간, 물집 발생 여부 등을 비교해보면 된다. 살짝 붓고, 가려움이 1~2일 사이에 가라앉는다면 스키터 증후군이 아니다.
그러나 스키터 증후군이라면 물린 자리가 심하게 부풀어 오른다. 손등에 물리면 손 전체가 새빨개지고, 발목에 물리면 부종이 있는 사람처럼 다리가 붓는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10일 이상 증상이 이어진다. 성인보다 면역체계가 미숙한 어린이에게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
특히 모기에 물렸을 때는 가렵더라도 긁으면 안 된다. 내부 조직이 손상돼 염증 반응물질이 분비되면서 가려움이 더 심해지기 때문이다. 냉찜질하면 가려움증을 완화할 수 있다. 모기에 물렸다면 낫기를 기다리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것이 안전하다. 숨이 차거나 어지러우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목숨이 위험할 수 있다. 병원에서는 증상에 따라 항생제 연고, 스테로이드제 등을 사용해 증상을 완화한다.
모기를 피하려면 밝은색이나 긴 옷을 입고, 선풍기를 틀어서 모기를 쫓는 게 좋다. 허브오일이나 모기 기피 스프레이를 뿌리거나 외부 활동 후에 땀을 바로 씻는 것도 도움이 된다. 건강은 아무리 조심해도 지나치지 않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