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이 음력으로 5월 5일 단오날이다. 단오날을 맞아 경북 경산시 자인면 계정숲에서 열리는 경산 자인단오제는 지역행사로서는 독특한 면이 있어 관심이 쏠린다.
신라시대 때부터 전승돼온 민속행사라는 것만으로 주목되는 일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단위 민속축제며, 축제 내용이 비교적 온전하게 전수돼 지역성을 잘 간직하고 있다는 것도 볼거리다. 또 자인면 주민들이 잘 단합해 지금까지 축제를 이끌어왔다는 것도 매우 흥미롭다.
단오행사는 지역마다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특성이 있다. 단일행사로 가장 큰 규모는 강릉단오제다. 강릉단오제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돼 있으며, 2005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경산 자인단오제도 국가무형문화재 44호로 지정받아 지금은 단오제로서는 강릉단오제와 더불어 우리나라 대표 축제로 인정을 받는다.
자인단오제는 신라시대 한장군을 섬기는 제례 행사에서 유래했다. 한 장군의 실존 여부는 알 수 없으나 오래전부터 한장군은 자인면의 수호신이다.
신라시대 자인면 부근에 있던 왜구들이 자주 마을로 침범해 주민을 괴롭히자 한장군은 여동생 등과 함께 여장을 하고 춤을 추면서 그들을 유인한 뒤 모두 섬멸했다는 전설이 있다.
한장군에 대한 고마움으로 마을 주민이 그의 사당을 짓고 제례를 올리면서 연 축제가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 그 당시 왜구를 유인하기 위해 추었던 춤인 여원무를 비롯 한장군묘 제례와 창포물에 머리감기, 그네뛰기, 씨름, 단오굿 등 각종 민속 연희가 이날 단오제 행사에서 재현된다. 우리 지역서 열리는 축제도 이 정도면 볼만하다. 오늘부터 3일간 열린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