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과제와 TK… ⑥ 지역 인사 홀대론 사라지나<br/>박근혜 정부 ‘집토끼’ 등 이상한 잣대… 文 정부선 대놓고 배제<br/>尹 첫 내각에 추경호 등 장·차관 두루… 임기말까지 이어져야
실제 박근혜 정부는 TK가 배출한 정부로, 뒤에서 정권 성공을 지원하는 모양새를 갖췄다. 그러면서 TK지역민들에 대한 보답도 뒤따를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현실은 정반대였다. 각종 정치적 셈법과 집토끼 논리에 휘말리면서 내각 구성에서 TK가 소외되는 등 역차별을 당했다.
문재인 정부때는 TK인사 홀대론이 정점을 찍었으며 노골적 핍박을 당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첫해인 2017년 초대 내각 장·차관급 인사 114명 중 TK출신은 11명에 불과했다. 집권 2년차에도 김부겸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 외에는 없었다. 2019년 개각 등에서는 TK출신이 전멸했고, 정부부처 간부급 인사들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였다. 이와 관련, 정치권 한 인사는 “문재인 정부의 최대 기반인 호남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고향인 부산·경남 출신 인사들이 전성기였다”며 “TK출신 공직자들은 한직으로 밀려나는 등 차별받았다”고 평가했다.
이런 우려 탓에 윤석열 정부를 바라보는 TK지역민들은 ‘걱정 반, 기대 반’이다. TK지역민들은 진보 정권에는 표를 적게 줘 인사에서 철저하게 배제됐고, 보수 정권에서는 정권 창출 일등공신임에도 역차별 당하는 과거 전례가 반복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 윤석열 대통령은 관료를 선호하고, 국민 통합에 치중하고 있다. 이런 기조가 유지된다면 각종 인사에서 TK인사들이 소외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지역발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K인사 홀대로 인해 예산과 각종 국책사업 등 지역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창구가 없던 상황이 그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지역 정치권에서는 한결같이 “국민 통합 필요성도 중요하지만 핵심 지지기반을 끌어안는 인사로 국정 동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과거 정부와 달리 TK지역이 역차별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주문했다.
이러한 주문이 효과를 거둔 덕일까. 일단 TK홀대론은 일정부분 해소된 듯하다. 윤 대통령은 측근들에게 TK지역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여러번 피력했다고 한다. 나아가 TK출신 인사들을 발탁하면서 박근혜·문재인 정부에서 이어져온 TK홀대론 명맥을 끊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TK출신인 추경호(대구 달성)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발탁됐다. 예산권을 쥔 실세 부처와 국가 안보 등 민감한 현안을 다뤄야 하는 주요 핵심 부처에 TK 출신이 두루 포진된 것이다.
차관급 인사에서도 전문성을 인정받은 TK출신들이 대거 발탁됐다.
지역 정치권 한 인사는 “TK홀대론이 윤석열 정부 초반에는 사그라들었다. 특히 향후 주요 국정 현안에 지역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창구가 넓어졌다”면서도 “이 같은 초반 기조가 임기 마지막까지 계속돼, TK홀대론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