맷 리브스 감독의 ‘더 배트맨’
영화 초반 배트맨의 첫 대사는 “나는 복수다”로 시작한다. 부모님이 피살된 뒤 막대한 부를 물려받은 브루스 웨인은 고담시의 악을 응징하는 동력으로 ‘복수’를 선택한다. 피살된 부모님을 눈앞에서 목격했던 소년은 훗날 본노에 가득찬 자경단이 되어 고담시의 밤거리를 누비며 어둠 속에서 나타나 악을 응징하고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사회정의구현보다는 ‘사적인 복수’의 영역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갈등한다. 일면 단순할 것 같았던 그의 행동들이 파고들수록 복잡하게 꼬인다. 고담시를 둘러싼 하나의 사건이 진실에 다가갈수록 해답은 멀어지고 모호한 지점으로 이어진다.
배트맨이라는 이름의 자경단으로 활동한지 2년차. 영화 ‘더 배트맨’은 그간 다루지 않았던 배트맨의 초창기 활동을 다룬다. 첨단 무기를 장착하고 세련되고 날렵한 액션을 구사하던 배트맨이 아니라 투박하고 무겁다. 여기에 더해 분노와 두려움의 경계지점에서 주저하는 모습의 완성되지 않은 고독한 영웅을 만난다.
브루스 웨인의 자경단 활동(배트맨)은 결과적으로는 정의를 구현하고 있지만 그 과정은 폭력적인 복수에 가깝다.
반대로 배트맨 시리즈에 등장했던 악당들의 행동은 결과적으로 배트맨과 대척점에 서있지만 출발점이 비슷하거나 목적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 다른 히어로물보다 ‘배트맨’ 시리즈는 캐릭터에 집중하는 영화다. 캐릭터의 능력보다는 저마다의 사연을 갖고 등장하는 악당의 이미지가 두드러지는 영화다. 소외되거나 사회적 약자에 가까웠던 인물이 어떻게 선과 악의 경계지점을 넘나드는가를 보여준다.
영화에 등장하는 악당 리들러의 추종자를 붙잡아 가면을 벗기며 “너는 누구냐?”고 물었을 때 그들은 “나는 복수다”라고 대답한다.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았던 선과 악, 영웅과 악당, 정의와 복수가 아슬아슬한 경계지점에서 같은 선상에 놓여 있음을 깨닫는 순간이다.
그간 ‘배트맨’시리즈는 배트맨의 이름과 함께 떠오르는 악당들이 더 선명했었다. 그러나 이번 ‘더 배트맨’에서는 배트맨이라는 캐릭터에 집중하고 있다. 그래서 사건보다는 캐릭터에 집중하고 흔들리고 갈등하는 갈림길에서 어느 곳으로 향하는가에 방점이 놓여있다. 정체성과 내면의 문제, 완성형보다는 진행형의 시작점에 ‘더 배트맨’이 자리한다. 배트맨을 돕고 있는 고든 경위가 아직 청장이 되지 않았을 때이며, ‘배트맨’시리즈의 유명한 악당인 ‘펭귄’이 오스왈드로 불리던 시절이며, 셀리나가 캣우먼으로 불리기 이전의 시기. 각자의 시그니처 복장이 완성되기 이전의 영화다.
그간 ‘배트맨’시리즈가 브루스 웨인의 유년기에서 본격적인 활약의 시기를 그렸다면 ‘더 배트맨’은 그 보다 훨씬 전인 아버지 토마스 웨인의 행적까지 들어간다. 현재의 고담시가 있기 이전, 현재의 악당이 등장하기 이전 이들의 출발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는가를 추적한다. 그리고 그 모든 것들은 배트맨인 브루스 웨인을 향하고 있으며, 그것을 토대로 자신의 정체성에 질문을 던지고 어떻게 자신의 행동을 규정지을지 모색한다. 전능함보다는 인간적인 고통과 갈등, 밝음 보다는 어둠의 영역에서 어설프고 나약한 인간으로서 밤거리의 그림자로 남은 한 사내의 성장기다. 동시에 깊은 인상을 남겼던 악당의 탄생기이기도 하다.
3시간 가까운 영화는 이처럼 앞으로 진행될 이야기의 밑밥을 잔뜩 깔아 놓으며, 무겁고 어두우며 깊은 배트맨의 내면을 훑는다. “나는 복수다”라는 대사처럼 지극히 사적인 복수에서 출발해 어떻게 공적인 정의를 실현할 존재로 나아가느냐의 맥락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영화는 제목에 ‘더(The)’가 붙었으며, 정의란 무엇이며, 영웅은 어떠해야 하는가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액션은 통쾌하지 않고, 속도가 필요한 순간 멈칫한다. 기존에 ‘배트맨’시리즈가 보여주었던 액션의 전개와 다르다. 이는 이 영화가 다루고자 하는 주제와도 연관되는데 배트맨의 대사 중에서 “공포는 도구일 뿐이다”처럼 속도와 타격감의 액션보다는 악을 응징하기 직전 어둠 속에서 도사리고 있으며 서서히 등장하는 그 순간의 공포를 도구로 액션의 기재가 작동한다.
누군가에겐 실망스러운 배트맨이 될 것이며, 누군가에겐 모처럼 고유한 분위기의 ‘배트맨’의 탄생에 다음을 기대하게 될 것이다. /(주)Engine42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