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지지배배(知知拜拜)

등록일 2022-04-24 18:49 게재일 2022-04-25 16면
스크랩버튼
이원만 맏뫼골놀이마당 한터울 대표
이원만 맏뫼골놀이마당 한터울 대표

知之知之 主之主之

去之年之 又之拜

알겠지요? 알겠지요? 주인님 알겠지요.

떠난 지 해가 지나 다시 와서 인사드립니다.

 

판소리 흥보가 제비노정기에 나오는 제비울음소리 대목의 일부다. 강남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와 주인을 알아보고 아는 척 절을 한다는 뜻이니 지지배배는 ‘知知拜拜’라고 제비의 울음소리를 적을 수 있겠다.

제비는 빈집에 집을 짓지 않는다. 상위 포식자인 사람이 자신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집의 처마 밑에 둥지를 튼다. 사람들도 삼월 삼짓날이 가까워지면 제비가 돌아올 줄 알고 둥지를 고쳐주는 풍속을 만들기도 했다. 제비는 사람의 곡식을 먹지 않고 하루 400회의 비행으로 1천 마리의 해충을 잡아먹는 농사에 큰 일꾼인 셈이니 기꺼이 처마 밑을 내어주었다.

사람과 함께 사는 야생의 새가 있다니 신기한 일이기도 하고 사람에게 이로운 새이니 판소리에도 등장을 시켰을 것이다. 다리를 다친 제비를 치료해서 강남으로 돌려보내 주었더니 다음해에 은혜를 갚는 박씨를 물고와 흥보가 잘 살게 되었다는 스토리텔링이 자연스러웠을 것이다.

학생들에게 전통음악을 가르치는 교육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할 일이 생겨 연극, 미술, 판소리꾼 등 예술가들을 만났을 때 나는 주저 없이 흥보가의 제비노정기를 제안하였다.

21세기 한국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판소리가 되어야 의미가 있다며 ‘포항예술가들의 더늠’을 해보자는 제안에 다들 찬성했고 단막창극의 대본작업에 들어갔다.

지금 우리 주변의 새들이 아파트의 방음벽 때문에 많이 죽어가는 이야기처럼 새들이 보호받지 못하는 것을 아이들과 함께 찾아내고 새들이 멀리서도 금방 볼 수 있는 필름 막을 박을 타면 나오게 하자는 등등 온갖 아이디어들이 쏟아져 나왔다. 흥보가가 새 지킴이 흥보가로 거듭나는 순간이었다. 그렇게 짜여진 교육프로그램은 전통판소리교육과 지구시민교육의 콘텐츠가 되어 아이들을 만날 것이다.

판소리대본을 쓰기 위해 새 이야기를 찾아보니 극 제비갈매기는 겨울을 나기 위해 따뜻한 남쪽의 바다를 찾아가기 위해 1만 2천㎞를 비행한다고 한다. 그리고 6개월의 방랑생활, 다시 돌아오는데 1만 2천㎞까지 합치면 한해에만 9만㎞를 이동한다고 한다.

최근 쇠제비갈메기의 한국 여름나기도 우리와 친숙하다. 매년 4, 5월 호주에서 날아와 안동호, 포항, 부산 등지에서 둥지를 틀고 여름을 나고 있다. 바다가 아닌 안동호 둥지를 튼 쇠제비갈메기 이야기는 지난 2013년부터 내륙 안동호 내 쌍둥이 모래섬에서 알을 낳고 새끼를 길러 다시 호주로 돌아가기를 반복하고 있다. 안동시는 인공모래섬까지 만들어 안전하게 호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해 돌보고 있다.

그냥 산보하듯 강남 갔다 오는 게 아닌 것이다. 그 작은 덩치와 작은 날개로 하늘을 날며 사람은 정면으로 쳐다보기 어려운 태양을 가장 오래 보는 새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겸허해지기까지 한다.

새는 하늘과 땅 ‘사이’를 난다고 ‘새’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하늘의 메시지를 땅에 전하는 전령사로 자유로움의 상징인 새들이 인간이 만든 건축물, 비행기, 농약 등에 죽어가고 도시의 확장으로 서식처를 잃어가고 있다.

미국의 어느 도시에서는 굴뚝을 서식처로 삼는 칼새를 위해 초등학교 아이들이 난방은 칼새가 돌아간 뒤에 하자는 캠페인을 위해 2주간 홍보티셔츠를 입고 다녔다고 한다.

그리고 그 캠페인에 호응하여 어른들은 양조장 굴뚝을 무너뜨리지 않는 조건으로 야외에서 칼새를 관찰하며 술을 마시는 ‘칼새와 보내는 밤 산책’이라는 프로그램까지 만들어 보호운동을 하고 있다고 한다.

새들이 도시에 찾아오는 이유는 도시가 만들어지기 전에도 왔기 때문이다.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간들이 비운 거리에 얼룩말들이 다니고 유람선이 사라진 강에는 백조와 물고기들이 돌아왔다는 이야기도 같은 맥락이다.

인도의 한 음악가는 연주 중에 새가 날아와 울자 연주를 멈추고 새가 떠날 때까지 연주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새가 사라지자 자신의 음악은 저 소리에서 탄생했다는 이야기를 하며 연주를 다시 시작했다고 한다. 그렇게 새는 자연과 사람을 이어주는 메신저다.

봄이 되어도 사람들은 ‘소통대신 소탕’을 하느라 시끌시끌하다. 새소리가 끼어들 틈이 없다. 신호등을 이용해 자동차 바퀴에 견과류를 깨어 먹을 줄 아는 까마귀들에게 빵빵거릴 뿐 까마귀의 식사를 웃으며 도와 줄 여유가 없다. 사람과 나무 사이에 새가 날지 않는다면 얼마나 삭막한가.

아이들과 새로운 버전의 판소리 한 대목을 나누며 인도의 음악가처럼 음악의 근원을 생각해볼 수 있었으면 한다. 새들이 그 먼 거리를 날아와서 어처구니없이 죽거나 다치는 일이 없도록 방지하는 일을 같이 했으면 좋겠다. 그래서 지지배배, 아는 척 절을 하며 날아드는 제비들을 포항에서도 많이 볼 수 있었으면 한다.

시사포커스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