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한 날씨와 최악의 가뭄으로 대형산불로 이어진 동해안 일대 산불은 지금까지 밝혀진 산림 훼손규모가 1만7천여ha에 이른다. 여의도 면적의 57배, 축구장 면적으로 따지면 2만1천여개 규모다. 총 464개의 시설물이 소실되고 7천명이 넘는 주민들이 대피했다.
현재까지 진화 작업에 동원된 소방, 경찰, 군인, 공무원 등의 인력만 1만9천명에 달한다. 따져봐야겠지만 천문학적 수준의 재산상 손실이 발생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정부가 울진과 삼척에 이어 다른 피해 지역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검토 중이나 이 정도가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주민의 고통과 아픔을 대신할 수는 없다.
정부는 7일 관계부처 합동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정부 지원과 주민 협조를 당부하고, 특히 고의나 과실에 의한 산불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다스릴 것을 밝혔다. 산림청에 의하면 최근 10년 발생한 산불은 봄철에 60% 이상 일어나고, 입산자의 실화와 논밭두렁 소각, 쓰레기 소각 등 부주의에 의한 산불이 70%를 차지했다.
사람들이 조금만 주의를 기울였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산불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다. 울진 산불 발화원인의 하나로 경찰은 지나가던 차량에서 던져진 담뱃불을 주목하고 있다. 철저한 원인규명이 있어야겠지만 사소한 부주의가 큰 재앙을 부를 수 있다는 사실에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강릉 옥계면에서 일어난 산불이 60대에 의한 방화로 밝혀진 가운데 최근 대구 달성군 가창면에서 발생한 산불도 방화로 의심돼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철저한 원인 규명으로 산불 방화가 재발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산불 발생으로 피해를 입은 산림은 본래의 상태로 복구하는 데 10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 화재로 인한 산림 훼손으로 생계나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는 사람도 많이 있다. 산불 방지를 위해 고의나 과실에 의한 부주의에 대해서도 엄벌하는 잣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