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거대한 ‘이미지의 덩어리’로 남는 영화

등록일 2022-03-07 20:23 게재일 2022-03-08 17면
스크랩버튼

어느 시점부터인가 ‘한 편의 영화’ 안에서 갖춰야 할 이야기의 완결을 거부하는 영화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영화의 러닝타임이 길어지더니 급기야 드라마처럼 시리즈가 이어지고, 회차를 이어가며 상영되는 영화들이 등장하게 된다. 여기에 개별 영화들이 공동의 세계관을 형성하더니 그 속에서 연관성을 가지고 간섭하면서 동일 세계관의 영화가 개봉할 때마다 전작의 영화들을 다시 봐야하는 상황이 벌어지곤 한다.

영화의 제작방식과 더불어 관람이라는 소비 방식에 있어서도 변화가 이어지면서 기존의 질서를 허물고 ‘영화관람은 영화관’에서라는 등식에 균열이 가고 있다. ‘넷플릭스’를 필두로 한 OTT(over-the-top·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의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비스가 활발해지면서 제작에 있어서 전통적인 영화 제작사들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각종 플랫폼을 통해 영화관과 동시개봉을 시작하면서 영화를 소비함에 있어서 장소와 시간에 더이상 구애받지 않게 되었다.

제한된 상영시간과 영화관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한 편의 영화를 제공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나머지 이야기는 다음에’가 존재할 여지가 적었다. 그래서 영화의 흥행은 얼마나 많은 상영관을 확보하는가가 중요해지고, 그 속에서 치열한 계산이 이루어지곤 했다. 단관극장에서 멀티플렉스관이 등장하면서 더욱 더 촉발된다.

하지만 지금은, 가장 작게는 휴대폰에서부터 책상 위 컴퓨터, 거실의 TV까지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영화를 관람하는 시대 속에서 기존의 방식과 새로운 소비형태가 충돌하는 장면을 목격한다. 물론 대형 스크린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영화의 감동은 그에 걸맞는 시스템에서 관람할 때 온전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가정의 TV는 점차적으로 대형화되고, 그에 따른 음향과 각종 기기들도 다 함께 변화하면서 끊임없이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제 한 편의 영화를 고르는 것에서부터 어떤 환경에서 영화를 볼 것인가의 선택지가 추가된 것이다.

드니 빌뇌브 감독의 ‘듄’은 위의 다층적인 변화를 복합적으로 드러내며 상영된 영화다. ‘듄’은 촬영부터 아이맥스(IMAX) 상영을 위해 아이맥스 인증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을 했다. 감독의 창작 의도를 고스란히 느끼기 위해서 아이맥스 영화관에서 관람해야하는 이유다.

“‘듄’을 텔레비전에서 보는 것은 마치 욕조에서 스피드 보트를 운전하는 것과 같다. 나에겐 말도 안 되는 일이다. 이 영화는 대형 스크린의 경험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라고 영국의 영화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이는 사라질지도 모르는 영화관에 대한 우려보다는 다양한 관람방식에 대한 분명한 선택지를 던진다고 봐야 할 것이다.

프랭크 허버트의 SF 대하소설 ‘듄’은 전 세계적으로 2천만부가 판매된 베스트셀러로, 영화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마침내 1984년에 데이빗 린치 감독의 ‘사구, Dune’이라는 제목으로 우여곡절 끝에 영화화 되었지만 감독조차 잊고 싶어하는 처참한 실패로 남는다.

소설 ‘듄’은 방대하고도 낯선 개념들이 가득하다. 국내에서 출판된 책의 경우 총 6권으로 드니 빌뇌브 감독의 ‘듄’은 1권의 절반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소설의 전반부가 그러하듯 영화는 3시간에 달하는 러닝타임 동안 세계관을 구축하고 등장인물을 설명하는 것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한다.

한 편의 영화에 기대할 수 있는 완결된 이야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듄’은 파트1로 다음 이야기를 펼치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데 중점을 둔다. 방대한 내용을 느린 속도로 쌓아 올린다. 그 속에서 드니 빌뇌브 감독은 원작을 어떻게 그려나갈 것이라는 단호하고 분명한 이미지에 몰입한다.

감독은 빛과 어둠, 색감과 사운드와 풍경 속 질감을 섬세하게 다루고자 한다. 빠른 속도를 담보하는 통쾌함과 박진감보다 장엄하고 우아하며 느슨한 속도를 취한다. 본격적인 이야기가 전개될 즈음 영화는 끝난다. 그래서 영화 ‘듄’은 관람 후 뚜렷한 이야기가 남기 보다는 거대한 ‘이미지의 덩어리’가 남는다. 이제 ‘듄’ 파트2에서 거대한 ‘이미지의 덩어리’라는 기초에 본격적으로 쏟아 낼 다음 이야기를 기대하게 된다. 이것을 알고 있는지 영화는 “이제 시작이다”라는 대사로 끝을 맺는다.

/(주)Engine42 대표

김규형의 영화 읽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