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바람을 기다리는 집

등록일 2022-03-06 20:09 게재일 2022-03-07 17면
스크랩버튼
바람을 기다리는 집 대풍헌.

7번국도를 달리다 재미난 이정표를 발견했다. ‘바깥멋질’, 위로 가면 울진 평해가 나오고 옆으로 가면 학곡1리와 바깥멋질이 나온다고 초록색 바탕에 하얗게 써놓았다. 입말로 부르는 듯한 동네 이름을 관공서에서 떡하니 간판에 새겨놓은 게 신기해서 차를 돌려 들어가 보았다. 그냥 빈집이 늘어가는 평범한 시골이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누군가 나처럼 궁금해서 알아보고 친절하게 알려주었다.

바깥멋질은 옛날 고을 원님이나 관찰사가 평해에 부임할 때 머무르며 행차를 준비했던 곳이란다. 조용한 동네에 왁자지껄한 퍼레이드를 보는 그 자체가 큰 구경거리여서인지, 그곳을 언제부턴가 ‘멋질골’이라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지도를 보면 ‘안멋질’도 있어서 동네를 바깥과 안으로 구분해 불렀다. 우리나라 어르신들이 이름을 참 쉽고 알맞게 짓는다는 걸 새삼 느낀다.

목적지 없이 해안선을 따라가다가 경치 좋은 곳에 차를 멈추자는 게 오늘의 여행 콘셉트였다. 국도에서 내려서 해안선 가까이 드라이브 길로 달렸다. 소나무 숲 사이로 바다가 언듯언듯 비쳐서 더없이 좋았다. 그러다가 ‘대풍헌’이라는 이름을 발견했다. 내비게이션에서 찾으니 5분 거리라 그리로 말머리를 돌렸다. 다가갈수록 바다가 가까워지더니 항구 가까이 독도 모양의 조형물이 나앉았다. 그 앞에 말쑥한 한옥이 우리를 맞는다.

새로 단장하고 문을 연 지 일 년 된 수토문화전시관, 그 뒤로 대풍헌이 자리했다. 그 이름을 풀이하면 바람을 기다리는 집이다. 서남풍이 불면 배를 띄우고 한류를 타면 울릉도까지 하룻밤 하루낮이 걸렸다. 울릉도에는 육지로 돌아오기 위한 바람을 기다리는 언덕인 ‘대풍감’이 있다. 그곳에는 조정에서 파견된 수토사들이 묵었는데, 수색하여 토벌하는 일을 맡은 관리였다.

예부터 우리는 새로운 말을 잘 만들어내고, 또 경제적으로 짧게 잘도 줄였던가 보다. 대풍헌과 수토사에서 지금은 부먹찍먹, 단짠단짠 같은 말은 나이 든 사람들도 그 뜻을 다 알지만 ‘많관부’라고 하면 대부분 모를 것이다.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를 줄였다. 별다줄이다. 별 걸 다 줄인다는 말이다. 그중에 대풍헌처럼 창의력이 돋보이는 신조어도 있다. 임신 중기에 먹성이 늘어 잘 먹는 것을 입덧에 빗대어 먹덧이라 하고, 무엇이든 처음 접하는 일이라고 어린이를 붙여서 요리 초보는 요린이, 주식 초보는 주린이라는 표현도 귀엽다.

조선 시대에 울릉도와 독도를 침략하여 벌목과 어로를 일삼는 왜군을 수색하여 토벌하는 수토사를 2-3년마다 파견하였다고 조선왕조실록에 전한다. 동해의 난류와 한류가 울진 앞바다에서 만나 먼바다 방향으로 흘러나감으로 울진 구산포항이 울릉도로 가기에 가장 적합했다는 사실을 조선사람이 이미 알고 있었다는 뜻이다. 언어조합능력 또한 그런 지혜에서 나온 것이리라.

고급 관리들은 이곳에서 잠을 잤지만, 200여 명의 수군들은 근처에 월송포진성에서 야영을 하고 있다가 출항했다고 한다. 인근의 마을 사람들과 유지들이 각출해서 이들의 숙식을 해결했다고 대풍헌 내의 현판에 기록되어 있다. 이런 기록들이 문화재로 인정받아 전시관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수토사문화전시관에는 울릉도와 독도에 관한 퀴즈 교실 같은 프로그램이 있어서 즐길 수 있고, 독도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화면이 있어서 섬의 작은 집과 그 아래로 해안선을 간지럽히는 파도와 섬 사이를 나는 괭이갈매기도 볼 수 있다.

전시관을 나와 전망대로 오르면 수토사들을 추모하는 공원이 있다. 비석과 출정 모습이 재현된 석판 그림을 보면 역사에 새겨진 그들의 이야기가 들려온다. 조금 더 올라가면 구산항전망대가 있다. 날씨 좋은 날은 망원경으로 울릉도까지 보인다고 한다. 푸른 바다 전경이 마음을 탁 풀어놓게 만들어, 바람을 기다리며 여기에 머물렀을 수토사들의 숨결도 함께 느껴본다. 순풍이 불자 수토선에 일행들을 싣고 깃발을 휘날리며 나서는 이들의 모습이 멋지다. 바다로 미끄러져 가는 당당한 뒷모습을 상상하니 멋질골이라 부르고 싶다. /김순희(수필가)

무엇을 기억한다는 것에 대하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