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구미, 광역 바이오가스화시설 사업 탄력

김락현기자
등록일 2022-03-03 19:55 게재일 2022-03-04 11면
스크랩버튼
시, 환경부 바이오 시범사업 선정<br/>시설 설치 본격화… 2024년 착공<br/>
구미 광역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 조감도. /구미시 제공
[구미] 구미시가 ‘구미 광역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지난 2020년 8월 민간투자사업 최초 사업제안을 받아 사업 타당성을 검토해 오던 구미시는 2022년 환경부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범사업에 선정됐다. 이를 통해 국고보조금을 10% 추가 지원받아 총 사업비 1천864억원 가운데 국·도비 1천27억원(국비 958억·도비 69억·시비 137억·칠곡군 25억·민간 675억)을 확보했다.

이번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사업은 구미시와 칠곡군에서 처리 곤란한 음식물, 가축분뇨, 하수 찌꺼기 유기성 폐자원을 재활용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사업이다.


시는 제3자 공고 및 실시협약의 행정절차를 거쳐 2024년 착공해 하루 580t 처리규모(음식물 170t/일· 가축분뇨 100t/일· 하수찌꺼기 280t/일·분뇨 30t/일)의 시설을 구미하수처리장 내에 2027년 준공할 계획이다.


신설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은 지하화 및 신기술 도입으로 구미하수처리장 내 소화조와 내구연한을 초과한 음식물 처리시설 및 분뇨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운영효율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개발 및 가축사육 증가에 따른 폐기물처리 문제를 완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칠곡군과의 광역화 사업추진으로 7개 폐기물처리시설을 통합 설치해 운영하며, 구미시와 칠곡군의 개별 사업추진 대비 건설비 15억2천만원과 연간 운영비 49억원을 절감한다. 여기에 건설기간 2천369명, 운영에 따른 3천494명의 고용효과도 창출된다.


사업준공 후에는 하루 바이오가스 3만4천89N㎥를 생산해 일부를 도시가스로 판매하는 등 연간 72억8천만원 부가 수익 창출이 예상된다. 시설물 운영에 하수처리장 재이용수를 활용해 연간 1억6천만원의 경제적 효과도 발생한다. 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률 역시 2020년 기준 13.5%에서 70.2%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재생에너지 확보 및 탄소 저감에 노력하고, 하수처리장 인근 주민의 악취관련 불편사항 해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