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구미, 취수원 협정문 국무총리실 전달

김락현 기자
등록일 2022-02-23 20:24 게재일 2022-02-24 2면
스크랩버튼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따른 요구 조건 등 포함<br/>최종 서명만 남은 상황… 시의회 반대 설득 관건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는 ‘취수원 다변화 협정문’이 국무총리실에 전달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구미시 등에 따르면 대구시, 경북도, 환경부, 구미시 등이 참여하는 취수원 다변화 협정문을 최근 국무총리실에 전했다는 것.


협정문에는 구미시의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에 따른 요구 조건들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구미시는 그동안 해평취수원 공동이용에 따라 낙동강수계기금 매년 100억원 지원, 구미하수처리장 시설 개선, 해평습지 생태축 복원 등 1조원대의 사업을 국가가 지원하는 내용과 KTX구미공단역 신설에 대한 대구시와 경북도의 적극적인 지지를 전제 조건으로 내걸었다.


또 환경부, 경북도, 대구시 등이 합당한 이유없이 협정 내용을 지키지 않을 때는 협정을 해지할 수 있다는 단서도 붙였다.


구미시 관계자는 “협정문이 국무총리실에 전달됐으며 최종 서명만이 남아 있는 상황이지만 현재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정확한 날짜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면서도 “대선 전에 협정문을 체결한다는 공감대가 있어 조만간 협정문 체결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종 서명만이 남아 있긴 하지만, 취수원 이전을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는 구미시의회를 어떻게 설득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


구미시의회는 지난달 임시회에서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 반대 특별위원회’(이하 반대 특위)를 구성하고, ‘취수원 이전 관련 연구 용역’을 내세워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의 부당함을 강조하고 있다.


반대 특위는 최근 경북도청을 항의 방문하고 이철우 도지사와의 면담에서 “취수원 이전 관련 연구 용역에서 대구시가 강변 여과수를 활용하는 방안이 경제적으로 최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또 “대구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할 경우 구미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반면, (상수원보호구역 등 해제로) 대구는 큰 경제적 이익을 얻게 된다”며 “환경부와 대구시, 구미시는 거짓 프레임으로 시민을 회유하고 있다”고도 했다.


반대 특위는 경북도청 항의 방문에 이어 조만간 대구시와 대구시의회를 항의 방문할 예정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반대 특위의 활동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환경부가 지난달 반대 특위의 ‘취수원 이전 관련 연구 용역’ 내용을 조목조목 반박하면서 “정부의 낙동강유역 통합물관리방안 정책을 호도해 국민에게 알릴 경우 법적 책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취수원 이전 관련 연구 용역’을 누가 발주 했느냐를 두고 구미시와 구미시의회가 서로 갈등을 빚고 있어 연구 용역에 대한 신뢰가 많이 떨어진 상태다.


구미시의회는 이 연구 용역을 구미시가 진행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구미시는 자체적으로 용역사업비 예산을 집행할 수 없는 구미시의회의 요청으로 구미상하수도사업소에서 1천932만원의 예산으로 진행한 용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다른 용역사업과 달리 이번 연구용역이 중간보고회나 최종보고회도 없이 ‘취수원 이전 불가’라는 결과를 도출하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한편, 환경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는 지난해 6월 ‘먹는 물’ 불안이 극심한 낙동강 유역 취수원을 2028년까지 다변화하고자 대구시 취수량(하루 약 60만t) 일부(하루 약 30만t)를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공동 활용하기로 의결했으며, 같은 해 8월 장세용 구미시장은 조건부 동의 의사를 밝혔다. /김락현기자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