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장르 중에서 특정 지역과 시대가 중심이 되는 것이 바로 ‘서부극’이다. 공간적으로 한정되어 있고, 시간적으로 특정 시대가 주류를 이루며 형성된 장르다. 전초가 있고, 그 전초를 기반으로 유사한 패턴의 이야기와 구조가 반복되면서 전형이 만들어진다. 패턴과 전형은 무수한 작품들을 쏟아내면서 장르로 굳어진다. 이후 서부극이 시들해지면서 공간과 시대를 이탈한 변주된 작품들이 등장하고 새로운 스타일과 내용을 함유한 ‘서부극’이 만들어진다. 장르는 변용을 통해 진화하며 명맥을 잇는다.
서부극은 그리 길지 않은 미국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시대물이다. 특정한 국가의 시대적·공간적 이야기가 세계적인 장르로 형성된 것이다. 그간 집중적으로 만들어졌던 서부극의 시대적 배경은 1850년대 골드러시와 미 대륙 횡단 철도 개통, 1860년대 벌어진 남북전쟁 전후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악당과 보안관, 인디언, 역마차, 총격씬, 황량한 사막을 질주하며 말을 타고 달리는 추격씬, 현상금과 금을 찾는 이들이 클리셰(Cliche·전형적, 의례적 의미)로 각인되었다. 이 속에 정의와 복수, 대결의 다양한 내용들이 자리잡는다.
서부극은 공간적 장르다. 그 시대 그곳에서 일어난 일들을 사실에 기반하거나 상상을 동원하여 엮는다. 공간적 해석 속에서 그 공간에서만 만들어질 수 있는 전형이 형성되었으며, 액션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강도’의 수위를 조절하여 왔다.
켈리 라이카트 감독의 ‘퍼스트 카우’는 공간을 약간 비껴서 ‘강도’를 낮춰버린 서부극이다. 그리고 그 자리를 다른 것으로 채운다. 서부극이면서도 서부극의 전형이 등장하지 않는다. 먼저, ‘퍼스트 카우’의 공간은 다르다. 182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는 그간의 서부극이 다루었던 시대적 배경 이전이며, 오리건주라는 북서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아직은 공격적인 서부 개척이 일어나기 이전이며, 백인들의 숫자보다 인디언의 숫자가 많은 곳. 모뉴먼트 밸리가 등장하는 황량한 서부가 아니라 춥고 습한 울창한 숲이 배경이 되며, 끼니를 걱정하는 초라한 행색의 유랑노동자가 등장한다. 켈리 라이카트 감독은 비껴선 공간에서 기존 서부극에서 다루지 않았던 다른 것으로 공간을 채운다. 식량을 얻기 위해 버섯을 따는 모습과 소리, 물소리, 바람 소리, 낙엽을 밟는 소리와 새들과 풀벌레 소리 등 미세한 소리와 장면으로 채운다.
‘퍼스트 카우’의 공간은 익히 보아왔던 서부극의 공간이 아니라 자연의 미세한 소리와 풍경에 집중한다. 대사는 절제되었으며 톤을 높이지 않는다. 정의와 복수, 의리의 내용을 제거하고 일용할 양식을 나누는 우정과 연대가 있다. 절제된 대사는 날카롭지 않고 따뜻하다. 궁핍한 삶에 끼니를 걱정할지라도 사소한 대화의 와중에서도 진솔한 눈빛이 오간다.
느슨할 것 같지만 긴장이 전혀 없지는 않다. 하지만 그 긴장은 기존의 서부영화와는 결을 달리한다. 긴장은 차분하게 상승되었다가 조용히 내려 앉는다. 결을 달리할 것이라는 것은 이미 영화의 프롤로그에서부터 분명히 밝히고 있다.
영화가 시작되면 현재의 오리건주 컬럼비아 강을 타고 들어오는 화물선을 천천히 오랫동안 보여준다. 그러다가 개와 산책을 하던 한 여성이 강변에서 나란히 누워 있는 두 구의 해골을 발견한다. 그리고 고개를 들어서 앞에 있는 나무를 쳐다보니 새들이 지저귀고 여성은 입가에 알 수 없는 미소를 지우며 200년 전의 이야기로 들어간다. 이후 전개되는 이야기는 해골을 발견한 여성의 상상일 것이다. 프롤로그에서 시작된 장면과 내용은 영화의 결말과 내용이 맞닿아 있지만 다시 등장하지 않는다.
기존의 공간을 멀리 벗어나 있는 이 영화에 감독은 그때 그 시절 당연히 존재했었을 것들의 일상으로 채운다. 바느질하고 청소하고 빨래하고, 정성껏 빵을 굽는 궁색한 일상의 모습. 작은 장면들, 미세한 소리와 잔잔한 전개 속에서 펼쳐지는 긴장감이 서정시와도 같은 서부영화로 등장했다.
/(주)Engine42 대표 김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