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대구에서는 신규 분양된 아파트 6곳 가운데 5곳이 1순위에서 청약에서 미달되는 사태가 빚어졌다. ㄹ건설이 대구 본동에 짓는 아파트는 1순위에서 9.6%의 청약률을 보였다.
관련업계는 이런 청약 미달사태가 앞으로 당분간 이어질 것 같다고 했다. 대구지역 아파트 시장 침체가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부동산원에 의하면 작년 12월 현재 대구에는 53개 아파트 분양단지 중 29개 단지가 미분양된 것으로 집계됐다. 그 중 동구에 64%가 몰려 있다. 아파트 가격도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1년 6개월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대구시는 매달 2천가구 가량의 미분양 물량이 지난해 8월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고 밝혔다.
게다가 올해 대구지역에 입주할 물량이 작년보다 3천세대가 더 많다. 2만6천여세대가 입주에 들어가면 집값 하락은 물론 주택시장 침체를 더 가속화할 가능성도 높다.
대구시는 이런 지역 주택시장의 사정을 고려, 대구지역에 묶여 있는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건설부에 세차례나 건의했다. 대구지역 국회의원들도 경기 퇴조를 우려,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국토부에 요구했다. 정치권은 대구는 주택가격 상승률(0.5)이 물가상승률(1.416)의 1.3배를 초과하지 않아 조정대상지역 지정 공동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상태라고 밝혔다.
주택시장이 과열되는 것도 문제지만 침체가 되는 것도 지역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대구지역의 아파트 미분양 사태는 전국에서 가장 심각하다. 조정지역 지정으로 투기수요가 억제되고 가격조정 효과도 충분히 나타나고 있다.
주택시장 침체가 산업 전반으로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조정지역의 해제 검토가 필요하다. 한꺼번에 풀기가 힘들다면 미분양 물량이 많은 동구부터 해제하고 경기 동향을 살피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