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배터리 중심도시 포항’ 빠르게 자리잡는 중

박동혁기자
등록일 2021-12-22 20:23 게재일 2021-12-23 1면
스크랩버튼
민간 투자 유치만 1조7천억원<br/>정부사업 국비 1천억 확보 등<br/>규자특구 2년여 만에 큰 성과

전기차 상용화로 인해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부상한 국내 배터리 산업을 이끌고 있는 포항시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 2년 반 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며 배터리 중심도시로 빠르게 자리잡아 가고 있다. 1조7천억원에 이르는 민간 투자유치는 물론 정부사업을 통해 1천억원이 국비를 확보하는 등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에 빠진 지역경제에 윤활유 역할을 하고 있다.

포항배터리 특구는 지난 2019년 7월 24일 지정됐다. 대상지는 포항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영일만1·4일반산업단지 일원을 포함한 99만2천358.72㎡이다. 12월 현재까지 국비 146억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372억원이 투입돼 오는 2023년 8월까지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규제자유특구 내 혁신사업은 △전기차 사용후배터리 분류 및 관리(종합관리) △사용후배터리 적용 ESS개발 및 상용화(재사용) △사용후배터리 자원회수(재활용) 등 3개 세부사업으로 분류된다.


경북테크노파크가 주관하는 1세부(종합관리)는 전기차에서 사용이 끝난 배터리를 반납받아 성능을 진단해 A∼D등급으로 분류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A∼C등급과 재사용이 불가능해 분해 후 재활용해야하는 D등급을 구분해 2세부(재사용), 3세부(재활용)로 전달한다.


민간업체 에스아이셀이 주관하는 2세부는 재사용 배터리 내 셀단위 잔존 파워를 평균수준으로 안정화하고 재사용 가능한 기준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또다른 민간업체 에코프로GEM이 주관하는 3세부는 폐배터리 분리·해체에 대한 기본적인 프로세스 확립을 통해 재사용이 불가능해진 배터리가 분해 후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규제자유특구 선정 이후 각종 성과도 이어지고 있다.


먼저 지난 2020년 12월 환경부 그린뉴딜 국책사업인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구축사업 유치에 성공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1단계 사업에 485억원, 2024년부터 2027년까지 2단계 사업에 485억원 등 총사업비 970억원 중 900억원 이상이 국비로 투입되는 사업으로 클러스터가 구축되면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유통체계 마련은 물론 재사용 불가 배터리의 환경적인 처리와 리사이클링이 가능해진다.


배터리 관련 기업 등의 민간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12월 현재까지 특구 내에 포스코케미칼(8천500억원), 에코프로(5천억원) GS건설(1천억원), 미래세라텍(400억원), 뉴테크엘아이비(130억원) 등 총 12개 기업에서 1조6천991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고 이 과정에서 1천261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포항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가 각종 사업에 성공하는 등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며 “기존에 철강산업에만 기울어있던 포항시의 산업구조에서 탈피해 신성장 동력인 배터리산업 활성화를 통해 경제활성화에 이바지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