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과 메타버스·NFT의 융합이 가속화하면서 실제로 존재하지 않아 입을 수 없지만 디지털세계에 존재하는 ‘메타패션(meta fashion)’이 글로벌 트렌드가 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돌체앤가바나는 지난 9월 크리스털, 금, 은 등으로 화려하게 디자인한 드레스, 재킷, 왕관 등 디지털 세계에만 존재하는 ‘가상 패션 NFT(대체불가능토큰)’ 아홉 작품을 경매에 부쳐 총 560만달러에 팔았다. 디지털 패션 스타트업 RTFKT는 지난 2월 디지털 아티스트 푸오셔스와 손잡고 600종의 가상 스니커즈 NFT를 판매 7분 만에 완판해 310만달러를 벌어들였다.
이같은 추세는 메타패션을 주도하는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SNS, 메타버스 속의 나’를 현실의 나만큼이나 중요한 자아로 여기는 데다 NFT화된 디지털 패션이 투자 수익까지 낼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일어난 현상이다. 세계적인 패션 브랜드인 돌체앤가바나, 구찌, 휴고보스 등도 디지털 의류와 신발 등을 선보였다. 구찌는 지난 10월 ‘구찌 스니커 개러지’라는 스마트폰 앱을 출시했고, 가상 신발을 구매한 뒤 스마트폰 카메라로 발을 비추면 증강현실(AR) 기술로 ‘가상 피팅’이 가능하다.
아바타만 입을 수 있는 디지털 드레스도 인기다. 국내에서도 디지털 패션 스타트업 오브오티디(OFOTD)가 가수 이효리가 최근 열린 ‘2021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MAMA)’에서 입은 드레스와 재킷을 디지털 옷으로 만들어 판매할 계획을 밝혔다. 대다수 디지털 패션은 NFT로 제작된다. NFT는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해 소유권을 확실히 하고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다. 메타패션의 눈부신 진화가 어디까지 나아갈지 궁금하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