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지난 4월 “포스코그룹이 철강을 넘어 전기차, 2차전지소재, 수소 등 친환경 사업 선도기업으로 발돋움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포스코는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미래 핵심사업을 육성해 2030년 기업가치를 현재의 3배 수준으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포스코는 지주사를 상장사로 유지하고, 철강사업 회사를 100% 자회사에 비상장 상태로 유지하는 물적 분할 방식을 택했다. 회사를 분할하더라도 핵심사업인 철강부문을 상장하지 않으면 해당 실적이 그대로 지주회사에 반영된다. 주주들의 주가하락 우려를 염두에 둔 결정이다. 지주사 전환은 1월 28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가와 기존 주주를 설득해야 하는 과제가 변수로 남아 있다.
포스코 뿐만 아니라 대부분 기업은 성장하다 보면 창업 당시의 사업 이외에 새로운 분야의 다양한 사업을 하게 된다. 사업 범위가 커지다 보면 경영 효율성을 위해 사업체별로 별도 회사를 분리하게 되고, 분리된 회사들을 총괄해서 관리하는 지주회사가 필요하게 된다. 우리나라 공정거래법에서도 주식의 소유를 통하여 국내 회사의 사업 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회사를 지주회사로 정의하고 있다.
지주회사 체제의 장점은 사업별 담당 경영진의 책임경영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업체를 별도의 자회사로 떼어 놓으면 해당 자회사의 재무제표를 통해 자회사 경영진의 실적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포스코는 그동안 유망 신사업을 추진하면서도 철강 중심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강해 시장에서 신성장 사업에 대한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탄소 중립 등 산업계 전반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 지주사 체제 전환을 통해 시너지를 높이려는 계획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