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N번방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되면서 디지털 장의사란 새로운 직업이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장의사는 디지털 기록을 지우는 작업을 통해 원치 않는 정보로 고통받는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희망을 주는 비즈니스다.
불법 촬영물과 비동의 유포(보복성 음란물), 사적인 이미지와 정보 유출 그리고 오래전 남긴 SNS 게시물이나 댓글 등 원치 않는 디지털 기록을 삭제한다. 숨기고 싶은 SNS 게시글이나 ‘흑역사’ 사진, 비방글, 악성 댓글, 욕설과 고객 문의 게시판에 남긴 개인정보 등도 포함된다.
우리나라에는 2020년말 기준 디지털 장의사 업체 20여 개가 활동하고 있다. 작업 과정은 일단 의뢰인과의 상담 후 빅데이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의뢰인의 데이터를 수집해 긍정적인 게시물과 부정적인 게시물로 분류하고, 악성 내용과 허위사실을 파악한다. 이 내용을 의뢰인과 공유해 삭제 요청 여부를 논의하고, 위임장을 받아 각 사이트에 기록 삭제 요청을 진행한다. 삭제가 완료된 후에는 1년간 모니터링한다.
디지털 장의사는 공간 임대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1인 창업으로 시작하기에 알맞고, 나이와 성별, 경력이 요구되지 않는 직업이다. 대신 하루에 100개가 넘는 게시물을 읽으며 삭제 여부를 판단하고, 말의 뉘앙스에 따라 비판인지 비방인지 판단을 내려야 하므로 높은 분석력이 요구된다.
현재 국내 디지털 장의사 자격증은 국가 공인이 아닌 민간자격증으로, 한국직업능률개발원, 한국디지털평판관리협회 등에서 발급하는 디지털 장의사 자격증이 있다. 의뢰인당 30만원부터 많게는 200만원 정도를 받으며, 업체당 연간 의뢰 문의만 해도 수천 건에 이른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유망 직업이란 말이 실감난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