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 왜구의 침입으로 무인도가 되었던 울릉도는 조선초 이래로 육지에서 사람이 건너가 살기 시작했다. 자료에 의하면 1911년 울릉도의 인구는 8천73명(1천414가구) 정도였다고 한다.
울릉주민의 가장 큰 숙원은 육지를 오가는 뱃길 확보다. 해방 전까지 일본 화물선을 이용해 육지를 오가기도 했으나 그나마 기회 잡기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려웠다. 섬주민의 육지 나들이는 꿈같은 이야기다. ‘동해 절해고도 울릉도’라는 표현이 딱 맞는 말이다.
해방후 대한해운공사의 여객선이 부산∼울릉도를 운행하기 시작했지만 한국전쟁 발발로 중단됐다. 전쟁 이후 150t 화객선 금파호가 취항, 부산∼포항∼울릉을 월 3∼4회 운항한 것이 정기선 운항의 시초다.
1963년에는 380t급 철선 청룡호가 정기운항 했으나 울릉과 포항간 운항시간이 12시간이나 소요됐다. 기상에 따라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도 했다. 1977년 도동항의 접안시설이 완공되면서 여객선 한일1호 등이 투입되고 운항시간은 6시간대로 줄었다. 일일생활권이란 말이 이때 처음 나왔다.
이후 카페리호의 취항으로 울릉∼포항간 3시간대 주파가 가능해지고 관광 성수기에는 하루 두차례 왕복운항도 가능했다. 새로운 울릉도 관광시대가 열렸던 것이다.
지난 9월 울릉크루즈 ‘신독도 진주호’ 취항 이후 울릉도를 찾는 관광객이 급격히 늘었다는 소식이다. 11월 중 울릉도를 찾은 관광객만 2만3천여명으로 울릉군이 관광객을 집계한 이후 가장 많다고 한다. 1만9천t급, 승객 정원 1천200명의 역대급 크루즈 여객선 취항 덕분이라 한다. 이철우 지사도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울릉도가 이제 육지가 됐다”고 언급했다. 2025년 비행장 완공을 앞둔 울릉도의 변신이 기대된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