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 인접한 공원 등성이에 특이한 조형물이 등장했다. 멀리서 보면 야트막한 산 위의 무슨 롤러코스트 같기도 한데, 가까이서 보면 사람이 걸어 다닐 수 있도록 계단으로 이뤄진 공중의 길 같은 철구조물이 지난 주 후반에 공개됐다. 시간과 공간의 마법에 걸리게 한다는 이른바 ‘Space Walk’가 포항시 환호공원 산마루에 은빛 위용을 드러낸 것이다. 포스코가 ‘환호공원 명소화’ 계획에 따라 3여년 전부터 다각적인 검토와 설계, 제작, 시공을 거쳐 지난 주에 완공하고 제막과 함께 시민들에게 오픈한 것이다.
스페이스 워크라는 작품명은 마치 우주공간을 유영하는 듯한 이색적인 즐거움을 선사한다는 뜻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클라우드(Cloud·구름)’라는 애칭처럼 예술 위, 구름 위에서 마치 공간과 우주를 걷는 듯 신비로운 경험을 하며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체험형 조형물이다. 이러한 조형물은 포스코의 기획으로 독일의 세계적인 부부작가 하이케 무터와 울리히 겐츠가 디자인하고 포스코건설이 제작, 설치하여 포항시민에게 기부한 국내 최대 크기의 체험형 작품이다. 주 재료는 포스코에서 생산한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으로, 자연재해의 이슈인 태풍과 지진 대비를 위해 구조설계의 기준을 강화해서 조형물의 안정화와 이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한다.
조형물이 시민들에게 개방된 ‘Space Walk 시민 Open Day’는 그야말로 축제 같은 분위기였다. 축하비행 에어쇼를 비롯하여 노래와 연주, 댄스 등의 공연이 펼쳐지는가 하면, 한 켠에서는 초청된 시민들에게 조형물을 배경으로 인생샷을 찍어 액자로 만들어주고, 용기와 희망을 담은 글귀를 붓글씨나 캘리그래피로 써서 나눠줬다. 또한 풍선아트로 갖가지 모양을 만들어 흥미로운 즐거움을 주기도 하고 따끈한 붕어빵을 구워 출출한 배를 달래주는 한편, 행사장 입구와 주차장 등지에서는 교통안내와 인원통제를 하며 시민들의 첫 조형물투어가 안전한 가운데 흥미롭고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배려했다.
이러한 일련의 나눔활동은 포스코 포항제철소 내 7개 재능봉사단이 참여하여 특유의 재능과 기량을 다양하고 특색 있게 펼친 것이다. 포항의 색다른 랜드마크가 될 조형물을 기부하고 오픈하는 자리에 포스코 직원들이 시민들에게 다채로운 이벤트로 즐거움과 기쁨을 안겨준 것 같아 고무적인 일로 여겨진다. 더욱이 2년째 계속되는 코로나19의 위축 속에 이와 같은 조형물투어는 일상의 돌파구 같은 문화적인 단비(?)가 아닐까 싶다. 포항제철소는 현재 총 41개 재능봉사단을 운영하며 임직원들의 특기와 기술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곳에 맞춤형 재능봉사를 실시하는 등 사회적 배려계층에 대한 베풂과 나눔, 상생협력을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스페이스 워크를 천천히 걸으며 철로 그려진 우아한 트랙의 곡선처럼 포스코의 제반 사회공헌활동이 지역사회 곳곳에 부드럽게 스며드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착실하고 더불어 함께 걷는 기업시민의 발걸음이 지역과 회사를 연결하는 상생의 가교로 작용해 사회공익가치로 온기를 더해가고 생기를 불어넣는 나눔문화의 고리가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