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가을의 언저리에 시의 향기가 그윽하게 피어났다. 툇마루 위에 달아 놓은 주홍빛 곶감이 대롱거리고, 기와 담장을 넘어선 담쟁이 넝쿨이 앙증맞게 반기는 작은 뜰에서 시와 가락의 향연이 소담스럽게 펼쳐졌다. 낭랑한 시낭송의 음색이 오후의 햇살 마냥 정갈하게 스며들고 구성진 민요와 시조창이 대금과 어우러져 흥겹게 흐르는가 하면, 피아노의 선율에 가곡이 더해지고 가녀린 듯 신명나는 춤사위까지 곁들여지니, 날아가던 새들도 감나무 가지에 다투어 내려앉고 기웃대던 오죽(烏竹) 잎새마저 서걱거리는 박수로 환호하는 듯했다.
최근 포항시 남구 효자동의 한 서옥(書屋) 뒤뜰에서 열린 ‘시가 흐르는 뜨락(詩뜨락)’의 풍경이다. 시인을 초청해서 시낭송과 시 이야기를 나누고 독자와 소통하는 것이 주 테마지만, 때에 따라서는 이처럼 가락을 곁들이거나 연주를 더해 다채로운 감칠맛을 우려내기도 한다. 이러한 ‘시뜨락’은 시와 시인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포항시낭송회의 시낭송가들과 함께 경향의 시인을 초대해서 시낭송회를 열고 시와 삶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나누는 시낭송 토크이다. 공연장이나 실내가 아닌 뜨락에서 열리는 시낭송 마당이 신선하고, 문인과 독자가 시를 매개로 만나 교류하고 공감하며 문학과 시낭송 예술의 저변확대를 꾀하는 문화사랑방인 셈이다. 2019년부터 시작된 ‘시뜨락’은 이번에 여섯번째를 맞아 기북 출신의 오낙율 시인을 초대해서 시 나눔행사를 벌였다. 마침 11월 1일 오낙율 시인의 네번째 시집 ‘포항 12景’(문학공간시선)이 출간되어 축하를 겸해 펼친 시낭송 마당이 뜻있고 정겹게 여겨졌다. 이 시집에는 오낙율 시인의 서정적 자아를 통한 자아성찰과 존재 해석을 진술하는 76편의 시가 수록돼 있다. 오시인은 사회 현실을 관조하고 그것을 자기 철학과 신념으로 해석하고 진술하는 시를 쓰며 탄탄한 시세계를 구축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 시집은 제목에서 시사하듯이 포항의 명소 12경을 둘러보고 소박한 소감을 형상화한 것이 주목된다. 필자가 알기로는 지금까지 포항 12경에 대한 단편적인 시가 더러 쓰여지기도 했었지만, 연작시 형태로 ‘포항 12景’을 쓰고 시집명으로까지 내기는 처음이라고 본다. 그만큼 오낙율 시인은 지역을 아끼고 사랑하며 시적 대상이 되는 사물이나 생활현장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참여한 15여 명의 시낭송가들은 저마다 낭송할 시들을 가슴으로 품으며 특유의 음색과 호흡을 가다듬어 멋들어지게 낭송했다. 춘하추동 사계의 테마로 낭송할 시들을 구분해서 3~4명씩 배경음이나 하모니카 멜로디에 맞춰 낭송한 시들은, 하늘하늘 나풀나풀거리며 만추의 뜨락에 결 고운 음률의 수를 놓는 듯했다.
이렇게 포항 12경이 시로 읊어지고 시낭송으로 울려 퍼짐은 퍽 고무적인 일이다. 더욱이 일상에서 문화를 향유하여 명실상부한 문화도시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포항시에서, 이와 같이 작은 음악회를 곁들인 시낭송회와 문인과의 만남을 주선하는 ‘시뜨락’ 행사는 문화로 너울지는 포항 만들기의 작지만 큰 발돋음이 아닐까? 문화는 삶이고 힘이며 지속발전가능한 미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