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디지털 디톡스

등록일 2021-10-28 20:13 게재일 2021-10-29 19면
스크랩버튼

영어의 블랙아웃(black out)은 정전, 기절, 필름이 끊김 등 여러 경우로 사용되는 단어다. 본래 뜻은 눈앞이 캄캄할 때를 가리키나 우리나라는 대정전이란 말로 표현한다.

블랙아웃으로 국가가 큰 소동을 빚은 사례는 2017년 8월 15일 대만의 블랙아웃이 유명하다. 대만 최대 액화천연가스발전소가 멈춰 서는 바람에 전국적으로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전지역의 64%에 해당하는 828만 가구가 정전이 됐다. 교통신호등 작동이 중단돼 교통대란이 빚어졌고 산업시설 일부도 멈췄다. 때마침 여름철 폭염 중이라 많은 주민이 냉방시설을 가동못해 무더위에 고역을 치러야 했다. 대만의 블랙아웃은 탈원전 정책으로 전력공급 능력이 떨어진 게 근본 원인으로 드러나 탈원전 정책 후퇴의 계기가 됐다고도 한다.

디지털 블랙아웃은 디지털 기기들의 작동이 중단되면서 통신이 불가능해진 상태를 말한다.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제 우리 일상생활 어느 곳에도 정보통신 기술이 침투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다. 모든 사물들이 정보통신 기술과 거미줄처럼 연결된 초연결사회다. 스마트폰 등 유무선 통신은 물론 간단한 검색이나 신용카드 결제, 증권거래, 교통서비스 등 어느 하나 디지털과 무관한 게 없다.

지난 25일 발생한 Kt의 통신 장애는 이런 초연결사회의 취약한 구조를 일깨우게 한 좋은 사례다. 비록 40분 동안이지만 인터넷 사용이 중단되고, 식당과 상점 등에서는 카드 결제가 안 돼 불편을 겪어야 했다.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는 디지털기기 속에 묻혀 사는 현대인에게 전자기기로부터 벗어나 심신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우리도 모르게 빠져든 초연결사회 속에서 한번쯤 일탈하는 여유를 가지는 것도 좋을 듯하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