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종이화폐의 위기

등록일 2021-10-26 19:24 게재일 2021-10-27 19면
스크랩버튼

몇 해전 한국은행이 돈의 유통과정을 살펴 화폐의 수명이나 환수율 등을 발표한 적이 있다.

화폐 중 수명이 가장 긴 화폐는 1만원권으로 10년1개월로 조사됐다. 1천원권은 4년4개월, 5천원권은 3년7개월로 가장 짧은 수명을 보였다. 5만원권은 2006년 처음 선을 보여 충분한 기간이 경과하지 못해 정확한 유통 수명을 측정하기 어렵다고 발표했다. 화폐의 수명이란 사람의 손을 많이 거치면서 더이상 사용이 불가능해 은행으로 되돌아오는 기간을 말한다. 1천원권과 5천원권이 1만원권보다 수명이 짧다는 것은 그만큼 시중에서 유통되는 시간이 길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은 또 한국 사람의 76%가 1만원 이하의 물품을 구입할 때는 현금을 쓰며 화폐 환수율이 가장 떨어지는 화폐는 5만원권이라 했다.

화폐의 생성 역사를 보면 아주 오래전 물물거래하던 물품 화폐시대에서 금속 화폐로 지금의 종이화폐로 발전해 왔다. 하지만 카드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종이화폐도 사용률이 급격히 떨어져 지금은 비현금 결재비율이 90%에 이른다. 이런 추세에 맞춰 디지털 화폐 등장이 예고되는 것도 눈길이 간다.

디지털 화폐란 금전적 가치를 전자적 형태로 저장해 유통하는 통화다. 가상화폐와 달리 정부의 통제하에서 발행됨에 따라 종이 화폐 시스템에서 등장하는 카드사가 빠지고 정부와 소비자만 존재하는 구조다. 화폐 관리가 용이하고 제조비용 절감과 위조·횡령 등의 방지도 쉽다.

우리나라에서 돈 만드는 일을 전담하는 한국조폐공사가 사업 전환을 고민중이라 한다. 한때 공기업으로 많은 사람의 부러움을 쌓던 직장이 창립 후 처음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산업계 전 분야에 부는 디지털화 바람으로 종이화폐도 이제 서서히 수명을 다해가는 모습이다. /우정구(논설위원)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