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초·중 정보관련 과목, 전체 수업 1%도 안돼

김진호기자
등록일 2021-09-30 20:05 게재일 2021-10-01 3면
스크랩버튼
김병욱 “글로벌 경쟁력 한계” 
정보통신산업이 4차산업혁명으로 다가오고 있으나 정작 교육현장에서는 정보 관련 과목이 전체 수업시수의 1%에도 미치지 못해 인력 양성에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병욱(포항 남·울릉군) 의원이 30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초등학교와 중학교 9년 동안 전체 수업시수 9천258시간 중 정보 관련 과목에 투입되는 수업 시수는 고작 51시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정보는 실과의 한 부분으로 3~4주에 한 시간 정도를 차지하는 수준이며, 고등학교에서도 정보는 생활교양 교과 영역의 기술·가정 교과군으로 분류되는 선택과목으로 돼있다.


이와 관련, 영국에서는 초·중·고에서 정보를 필수 교과로 지정하고 무려 374시간을 가르치고 있으며, 인도의 경우도 256시간 교육하고, 인접 국가인 중국에서도 212시간을 정보교육에 할애하고 있다. 일본 역시 프로그래밍 등의 정보 활용 수업까지 합치면 무려 405시간을 정보 교육에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세계시장에서 경쟁하려면 제대로 된 정보 관련 지식이 있어야 하는데, 다른 국가들과 현재의 우리나라 교육 상황을 비교할 때 절대로 우위를 선점할 수 없는 실정이라는 지적이다.


김병욱 의원은 “지금처럼 전체 수업시수를 한정해 과목별로 조정하는 경직된 국가교육과정 방식으로는 교육이 시대적 흐름을 따라가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