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코로나19 여파 백년가게도 못 버텼다”

김진호기자
등록일 2021-09-29 20:18 게재일 2021-09-30 2면
스크랩버튼
국민의힘 김정재 의원<br/>2019년부터 5곳 중 3곳 폐업<br/>올해 예산 58억 쏟아부었지만<br/>사후관리 지원엔 2억 그쳐<br/>“정부 성과 알리기만 편중” 지적
김정재 국민의힘 국회의원
김정재국민의힘 국회의원

업력이 30년 넘는 오랜 노하우를 가진 우수 소상공인을 발굴해 100년 이상 존속·성장하도록 지원·육성하는 백년가게 마저 코로나19 장기화로 불황에 버티지못하고 올해만 3곳이나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정재(포항북구·사진)의원이 29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백년가게 지정취소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현재까지 지정취소된 5곳 중 3곳이 코로나로 인한 경영악화로 올해 폐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9월 7일 백년가게로 지정된 서울 중구의 섞어찌개 집은 업력이 32년이나 됐지만 지난해 11월 영업을 중단했다.


종로에 위치한 설렁탕집도 업력이 35년이나 되었음에도 폐업을 피하지 못했고, 경남 창원의 민물장어구이집도 52년이라는 세월이 무색할 만큼 코로나19를 버티지 못했다.


백년가게 선정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난 2018년 6월부터 시작됐으며, 이후 박영선 전 장관 시절엔 음식·도소매 외에도 이미용·사진·양복 등으로 업종과 규모를 크게 확대하고, 국민추천제를 도입해 사업 홍보를 강화했다.


백년가게 예산도 대폭 늘렸는데, 지난해 13억4천만원에서 올해 예산은 58억5천만원으로 4배 이상 증액됐다. 그러나 예산내역을 확인한 결과 정부 성과 알리기에만 편중된 것으로 드러났다.


58억5천만원 중에서 선정평가·현판제작에 8억 5천만원, 컨설팅·시설지원에 38억원, 스토리보드 설치와 홍보에 10억원을 배정했지만 사후관리는 2억원에 그쳤다. 중기부가 대국민 홍보만에 매달릴 뿐, 정작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한 사후관리나 지원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정재 의원은 “반세기 동안 지탱해온 노포, 백년가게들 조차도 코로나 사태로 인해 폐업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라며 “일선에 있는 소상공인의 휴·폐업 등 피해는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전수 조사와 충분한 손실보상금 지급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