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어떤 시참

등록일 2021-09-28 18:25 게재일 2021-09-29 16면
스크랩버튼
기형도 시집 ‘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사

국어사전은 시참(詩讖)이라는 단어를 이렇게 설명한다. “우연히 지은 시가 뒷일과 꼭 맞는 일”이라고. 백석은 1936년에 짝사랑하는 여인 박경련을 만나러 무작정 통영에 갔다가 그녀를 만나지 못하고는 슬퍼서 “내가 좋아하는 그이는 푸른 가지 붉게붉게 동백꽃 피는 철엔 타관 시집을 갈 것만 같은데”(‘통영 2’)라고 썼는데, 이듬해인 1937년 봄 박경련은 백석의 가장 친한 친구였던 신현중과 백년가약을 맺는다.

“스물세 해 동안 나를 키운 건 팔 할이 바람이다”라는 명구를 ‘자화상’에 새긴 서정주는 그 시의 다른 대목에 “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진 않을란다”라고 쓰고는 정말 아무것도 뉘우치지 않았다. 자기 평생이 친일, 독재 미화 등 오욕으로 얼룩지리란 걸 젊은 날의 방황 속에서 이미 알았을까?

2005년 등단한 신기섭의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나무도마’에는 “아직도 상처받을 수 있는 쓸모 있는 몸, 그러나/ 몸 깊은 곳 상처의 냄새마저 이제 너를 떠난다 (…) 혹은 어떤 상처도 받지 않는 무덤 속 같은/ 너의 몸”이라는 어두운 문장이 있다. 그의 시에는 유난히 죽음에 대한 묘사가 많았는데, 그는 그해 12월 4일, 눈길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시인이 자신의 홈페이지에 마지막으로 남긴 일기는 섬뜩하다. “옥상에 흰 눈이 쌓이고 있다. 눈이 많이 온다는데 새벽에 출장, 영천행. 무언지 모를 불길한 기분… 옥상에 쌓이는 눈은 나 아니면 아무도 밟아줄 사람이 없다”는 독백이 시참이 된 것이다.

“한 나라가 다시 살고 다시/ 어두워지는 까닭은/ 나 때문이다. 아직도 내 속에 머물고 있는/ 광주여, 성급한 목소리로 너무 말해서/ 바짝 말라 찌들어지고/ 몇 달 만에 와보면 볼에 살이 찐,/ 부었는지 아름다워졌는지 혹은 깊이 병들었는지/ 아무것도 알 수 없는 고향, 만나면 쩔쩔매는/ 고향, 겁에 질린 마음을 가지고도/ 뒤돌아 큰 소리로 외치는 노예, 넘치는 오기/ 한 사람이, 구름 하나가 나를 불러/ 왼종일 기차를 타고 내려오게 하는 곳/ 기대와 무너짐, 용기와 패배,/ 잠, 무서운 잠만 살아 있는 곳, 오 광주여”라고 노래한 이성부의 시 ‘광주’는 1980년 5월 이후 쓰인 것이 아니다. 이 시는 1972년에 발표됐다. 믿어지지 않겠지만 사실이다. 어떤 시는 그것을 쓴 시인의 자기 운명이 되기도 하고, 또 어떤 시는 훗날 공동체가 겪을 사건의 예지몽이 되기도 한다.

“신이여 아이들을 버리소서/ 세상이 이미 아이들을 버렸습니다/ 못 박힐 순결한 손이 필요 없나이다/ 집채만 한 파도가 아이들을 삼켰다 어둠이 하는 일을 어둠은 끝내 알지 못하므로/ 당분간 종려주일은 없을 것이므로”라고 쓴 이원의 시 ‘검은 모래’는 그래서 더 아프고 슬프고 무섭다. 시인의 직관은 미래의 비극을 예감하고 있었을까. 이 시는 2013년 여름에 발표됐다. 시인이란 존재는 샤먼과도 같다.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고, 듣지 못하는 소리를 듣기 때문이다. 그것은 축복인 동시에 저주이기도 하다.

기형도는 1989년 초에 발표한 시 ‘빈집’에서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라고 썼다. 그리고 얼마 뒤인 3월 7일, 파고다극장에서 심야영화를 보다 뇌졸중으로 쓰러져 일어나지 못했다. 그의 나이 만29세였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기형도, ‘엄마 걱정’) 시인은 유년 시절에도, 어른이 돼서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걱정했는데, 이승에서의 생보다 더 길고 오랜 저세상에서도 내내 엄마 걱정을 했을 것이다. 지난 22일, 시인의 어머니인 장옥순 여사께서 소천했다. 아들과 남편이 잠든 안성천주교묘원에서 영원한 안식을 누리게 됐다.

에디뜨 피아프가 부른 ‘사랑의 찬가’엔 “신께서 사랑하는 사람들을 다시 만나게 해주시겠지요”라는 노랫말이 있다. 연인 마르셀 세르당을 비행기 사고로 잃고서 찢긴 가슴으로 부른 노래다. 그 또한 아름다운 시참일 것이다. 이제 시인은 오래 기다리던 ‘엄마’를 하늘에서 만나게 됐다. “어둡고 무서웠”던 죽음의 세계에도 재회의 기쁨 있으리라.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