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전국시도체육회장협의회가 학생 선수가 진학과 관련이 있다면 대학·일반부 선수는 취업 및 장래가 걸린 문제라며 전국체전의 정상 개최를 건의했다. 전국체전의 정상 개최를 요구하는 국민 청원도 등장했다.
그러나 추석연휴 이후 폭증세를 보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전국체전의 정상 개최는 체육계의 여망과는 달리 사실상 불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매우 심각하다. 체육대회를 준비했던 지방자치단체를 비롯 선수와 지역상인들까지 그 피해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체육시설 인프라 확충에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한 경북도와 구미시는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본다. 고등부 선수가 대학진학과 연관된다면 대학 및 일반부 선수는 전국체전이 열리지 않음으로써 취업과 직장내 실업팀 존폐 문제에 직면하는 심각한 고민에 빠지게 된다. 목표감을 상실한 선수들의 의욕상실로 크게는 대한민국 체육발전에도 심대한 타격을 입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체육계의 별도 대책이 있어야겠지만 코로나에 대비한 좀 더 치밀하고 기획적인 전국체전을 준비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은 면키 어렵다. 자치단체의 예산투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관련 국회 차원의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 정부의 책임있는 결정을 촉구하고 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보완적 조치기 때문이다. 또 숙박예약 취소문제와 관련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제의한 선수 1인 1실 사용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미 예약된 1만2천여호실의 절반 이상이 취소된다면 그 피해도 상당하다. 전국체전 특수를 기대했던 개최지의 억울한 면을 풀어줘야 한다. 불가피한 사정으로 생긴 반쪽 체전의 모든 피해는 정부가 보전하는 것이 순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