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예민함이라는 능력

등록일 2021-09-14 18:37 게재일 2021-09-15 16면
스크랩버튼
글을 쓰면서 예민함은 귀한 재료가 되기도 했다. /언스플래쉬

“넌 참 예민하고 피곤하다.” 어렸을 때부터 듣던 말이다. 가족들은 물론이고 친구들에게도 자주 들었다. 누군가가 나를 그렇게 보고 있다는 사실이 썩 유쾌하진 않았다. 그 말을 들으면 발끈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한참 동안 피력하기도 했다. 그러한 행동이 내가 예민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증이었다는 건 나중에야 깨달은 일이다.

본인이 예민하다고 여기는 사람들은 공감할 것이다. 타인의 사소한 언행이 일순간 날카롭게 바뀌어 가장 아픈 곳을 찌르는 경험을 말이다. 어떤 순간은 가시처럼 박혀서 꽤 오랫동안 깊은 상처로 남는다. 누군가는 아무렇지 않게 넘기는 일이 굉장히 언짢고 불편하다. 이러한 성정에 공감하는 사람을 만나면 기쁘다. 그래, 나 같은 사람이 또 있던 거야. 뿌옇던 유리창이 맑아지는 것처럼 선명하게 깨닫게 되는 것이다.

정말이었다. 나는 계속해서 불합리한 것들을 발견해냈다. 그건 아주 미세한 지점이었다. 식탁 위의 맛있는 반찬은 항상 오빠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던가, 텔레비전의 리모컨을 쥔 사람은 늘 엄마라는 식의 일들. 나에게 레이스가 달린 불편한 옷을 선물하는 아빠는 어째서 활동성 좋은 옷을 입고 명절에 음식을 만들고 치우는 식구들은 왜 여자들뿐인가. “이건 불공정하다”라고 소리치면 “예민하고 유난이다”라는 답만 돌아왔다.

왜 남자애들은 학교 운동장을 누비면서 축구를 하고 제멋대로 웃통을 벗어젖히는 동안에 여자애들은 구석에 그려진 좁은 선에 갇혀 서로를 향해 공을 던져야 하는가. 같은 반 친구에게 괴롭힘을 당해도 걔들은 원래 그렇다고, 착한 네가 참으라는 말을 들어야 하는가. 가만히 있어도 땀이 흐르는 여름에 교복 셔츠 위로 브래지어 자국이 비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겹의 옷을 더 껴입는 일, 선생님의 폭언에도 대꾸하지 못하고 고개를 숙이는 일, 우등생의 실적을 위해 내가 하고 싶은 활동을 포기하는 일은 여린 마음을 무자비하게 찌르기에 충분했다.

나는 끊임없이 분노했다. 그러한 태도로는 어떤 것도 해결되지 않았다. 부당하다는 말을 할수록 사람들은 나를 불편해했다. 예민하고 피곤한 사람이라는 판단은 어린 나를 주눅 들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그러한 비난으로부터 나를 방어해야 했다. 나는 주문처럼 외쳤다. ‘이 세계는 원래 그렇다. 좋은 게 좋은 거다.’ 어찌 보면 간편한 일이었다. 그저 내 성격을 탓하면 끝나는 일이었으니까. 무던해지려고 애썼다. 다양한 삶의 지점에서 불편하다는 생각이 들면 눈을 질끈 감았다. 아끼던 물건이 마모되어 돌아와도 무례한 언사를 들어도 참아냈다. 그리고 그저 사람 좋은 웃음으로 대신했다. 그러면 많은 일이 해결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니까 나의 사춘기는 나 자신을 부정하면서 동시에 인정하는 과정이었다. 나 자신과 그를 둘러싼 세계를 명명백백하게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다는 것을 깨닫는 일이었다. 나의 비뚤어진 부분을 발견하고 온 힘을 다해서 거부하지만 결국 그런 인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순간, 나는 어른이 되었음을 직감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

어느 순간부터 나는 나의 예민함을 받아들였다. 글을 쓰게 되면서 예민함은 귀한 재료로 사용되기도 했다. 예민하다는 것은 삶에서는 불행일지 모르지만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는 힘이 된다. 아무도 발견하지 못한 균열의 지점을 포착하는 능력이 이 예민함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때때로 길가에 앉아서 오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골똘히 쳐다본다. 그들의 고단한 걸음걸이를, 해를 등지고 길게 늘어지는 그림자를 응시한다. 그리고 생각한다. 그들에게는 분명 내게 보이지 않는 서사가 있을 것이라고. 머리맡에 다양한 이야기가 잔뜩 운집해 있기에 언제 쏟아져 내려도 이상하지 않다. 나는 가시 돋친 서사에 기꺼이 손을 댄다. 따갑고 아프지만 내 안에서 새롭게 피어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은 기민한 눈으로 주변을 둘러볼 수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그러니 자신의 예민한 성정으로 괴로워하는 누군가에게 말하고 싶다. 당신은 아주 귀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사이에 숨겨진 경계를 발견하여 아낌없이 꺼내어 놓는 일은 실로 대단한 것이라고. 그리하여 확장되는 시야는 분명 유의미하다고. 어쩌면 그토록 불편한 우리가 이토록 부당한 세계를 바꿀 수도 있다고 말이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