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여당 순회경선, TK현안 해결의 기회로 삼아야

등록일 2021-09-07 19:41 게재일 2021-09-08 19면
스크랩버튼
더불어민주당 주요 대선후보들이 대구·경북 지역 경제가 그동안 전·현 정권으로부터 홀대를 받아 심각하게 낙후됐다는 점을 인정하고,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공약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오는 11~12일 실시되는 대구·경북지역 순회경선을 앞둔 득표전략이긴 하겠지만, 정치권과 지자체는 여당의 최종 대선후보 공약에 이 지역 현안이 많이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재명 후보는 지난 5일 대구 상공회의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대구·경북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구·경북의 기존 정치 세력이 하지 못한 일을 이재명이 하겠다”면서 TK 6대 공약을 발표했다. 공약내용은 미래형 자동차산업과 로봇산업 육성, 구미~대구~포항권 이차전지 소재산업 벨트 구축 등이다. 이낙연 후보도 지난 6일 “대한민국 산업의 심장인 대구·경북이 있었기에 현재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할 수 있었다. 대구·경북이 IMF를 거치면서 싼 임금의 노동력을 찾아 지역기업들이 하나둘 떠나면서 제조업의 위상이 많이 축소됐다”고 밝히면서 “대구·경북을 광역경제 생활권으로 묶어 신(新) 제조업 수도를 겸하는 메가시티로 발전시키겠다”고 공약했다. 그는 공약실현을 위해 국무총리실 산하에 지원단을 설치하겠다고 했다. 정세균 후보도 같은 날 “대구·경북 침체엔 전 정권의 책임도 무관하지 않다는 데 동의하지만 그렇다고 우리 정부의 책임이 없다고 하기엔 낯부끄럽다”고 밝히면서, 경북 전역 무료버스 사업 시행, KTX 구미역 신설 등을 공약했다.

민주당 이광재 의원이 지난 3월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대구 경제가 전국에서 꼴찌다. 사람을 보고 뽑은 게 아니라 당을 보고 뽑았기 때문”이라며 TK 지역민을 조롱하던 때와는 판이한 분위기여서, 여당 주요 대선후보들의 TK 공약이 지역민들로선 일면 위로되는 측면이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 대구·경북은 인사나 예산, 국책사업 등에서 수많은 패싱을 당해 왔지만, 이전 보수정권에서도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대구·경북 정치권과 지자체는 이번 대선에서 여당 주요후보들이 득표를 위해 이 지역에 관심을 가질 때 TK현안이 이들의 주요공약집에 포함되도록 총력전을 펴야 한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