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전통시장 대형 화재, 왜 자꾸 되풀이되나?

등록일 2021-09-05 20:08 게재일 2021-09-06 19면
스크랩버튼
명절을 앞두고 영덕군 영덕읍에 있는 전통시장인 영덕시장에서 4일 새벽 대형화재가 발생해 상인들의 피해규모가 크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농어촌지역의 경기가 바닥인 때에 추석 대목만 보고 근근이 버텨온 상인들은 이번 화재로 앞날이 막막한 상황이다. 소방당국은 점포에 설치돼 있던 냉각기 누전으로 불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영덕시장은 생선과 과일, 채소 등 다양한 물품을 파는 상설시장이자 4일과 9일에 장이 서는 전통시장이다. 불이 난 이날은 5일장이 서는 날인데다 추석 대목을 앞두고 있어 상인들이 물품을 많이 들여놓아 피해규모가 더 컸다. 이 불로 총 78개 점포 중 48개 점포가 전소되고 30곳은 그을림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다행히 연기를 흡입한 주민이 병원에서 치료받은 것 외에는 인명피해는 없었다. 불은 옆 상가 건물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시장을 둘러싼 상가나 주택도 강한 열기에 물품이나 간판 등이 녹아 피해를 본 곳이 많다. 영덕군은 시장과 가까운 오십천 옆 둔치에 임시로 시장을 열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발 빠르게 4일 오전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피해 상인들이 신속히 생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각 기관별 지원 대책을 세운 것은 잘한 일이다. 이승우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화재 현장을 방문해 시장 상인들을 만나 어려움을 듣고 신속한 피해 복구를 약속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현장지원상담소를 설치해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사항을 안내했다. 경북도와 영덕군 및 유관기관은 폐기물처리, 시설 안전 점검, 임시영업 시설 조기 설치 등을 지원하고, 최대한 이른 시일 내 영업을 재개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관계당국은 피해 상인들이 하루빨리 충격을 딛고 장사를 할 수 있도록 각 기관별로 업무분담을 해서 적극 지원하길 바란다.

전통시장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는 대부분 대형화재는 누전 때문인 경우가 많다. 오래된 전선들은 물기에 젖으면 합선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최근들어 상당수 전통시장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원으로 정비되고는 있지만, 아직도 시설이 낙후돼 화재에 취약한 곳이 많다. 추석을 앞두고 전통시장에 대한 소방당국의 점검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