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선관위는 지난 1일 전체 12명 후보들의 대리인을 불러 역선택 방지조항에 대한 공식 견해를 들었다. 그러나 찬성과 반대로 양분된 후보 대리인들이 캠프 입장을 관철하기 위해 초강경 태세를 고수함에 따라 갈등 봉합에 실패했다. 역선택 방지조항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윤석열·최재형·황교안 후보 측은 “역선택을 막는 것이 본선 경쟁력을 높이고 정권교체를 할 수 있는 길이다. ‘대깨문’에게 우리 운명을 맡길 수 있느냐”는 입장이다.
반면, 홍준표·유승민·하태경 후보 측은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자는 것은 반쪽 국민들만 데리고 경선을 하자는 것과 똑같다. 경준위와 최고위에서 추인한 안을 손바닥 뒤집듯 뒤집는다면, 결국 경선은 파행으로 가고 당은 파국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각 후보 측이 역선택 조항에 대해 초강경 태도를 보이는 이유는 여론조사 대상에 여권지지층을 넣느냐 마느냐에 따라 후보별 지지율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여야 대선후보를 모두 포함한 여론조사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크게 앞서고 있지만, 국민의힘 후보만 두고 조사를 하면 윤 후보와 홍준표·유승민 후보의 격차가 크게 좁혀진 결과가 많이 있다.
국민의힘 선관위는 여론조사 전문가들을 상대로 의견을 청취한 뒤 다음 주 초에 최종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사실 정당에 대한 국민 선호도가 명확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역선택 방지조항을 둔다고 해서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여권지지층이 조직적으로 움직이면 이 조항은 무용지물이다. 당헌·당규와 관행 등을 참고로 선관위가 신속한 결정을 하면 되지, 의미 없는 룰을 두고 지루하게 공방전을 끌고 갈 필요가 없다. 선관위가 중립성을 잃지 않는 선에서 현명한 결론을 내리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