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원에서 지냈던 적이 있다. 나는 스물셋의 대학생이었다. 셋방에서 쫓겨나다시피 나와 급하게 방을 구해야 하는 상황에서 당장 택할 수 있는 유일한 답이었다. 그곳은 내 몸 하나 겨우 뉠 수 있는 침대와 노트북을 올려놓을 수 있는 책상이 가구의 전부였다. 다행으로 침대의 머리맡에는 창문이 크게 나 있어서 나름대로 낭만적인 풍경을 연출할 수 있었다. 나는 습관처럼 나무의 잎사귀가 사락사락 흔들리는 모양을 바라보았고 해가 지기 직전 아무렇게나 흩어지는 빛의 파편을 집요하게 관찰했다. 이따금 얇은 벽 너머로 딱, 딱, 하는 정체 모를 소리가 들리기도 했는데 그것의 기원에 관하여 상상하다가 밤을 꼬박 새우기도 했다.
작은 방일수록 어둠은 빠르게 번졌고 묵직한 외로움이 어깨를 눌렀다. 그러면 노트북을 켜고 이런저런 상념을 적었다. 목구멍 가득 꽉 막힌 감정을 배설해야만 간신히 숨을 쉴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어떤 고민을 써 내려갔던가. 그때 쓴 일기는 모두 휘발되고 없지만 어느 정도는 유추해볼 수 있다. 언제까지 이 작고 불편한 방에서 살아야 할까. 언젠가는 내 앞가림은 하고 사는 인간이 될 수 있을까. 어째서 나는 삼성가의 자식으로 태어나지 못했는가, 하는 실없는 이야기를 투덜거렸던 것도 같다. 쓰는 행위로 완전히 해소할 수 없는 지점은 분명히 있었다. 내 삶이 너무도 나쁘고 누추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것을 누구에게도 들키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였을까. 아르바이트비를 정산 받고 가장 먼저 산 건 구두였다. 발목이 뒤틀리고 발뒤꿈치가 쓰라렸지만 도도하게 거리를 거니는 모습을 상상하면 그러한 아픔쯤은 충분히 견딜 수 있었다.
나는 구두를 신고 부지런히도 돌아다녔다. 광화문 교보문고에 들러 사지도 않을 철학 서적을 괜스레 들춰보기도 하고 한 잔에 팔천 원씩 하는 밀크티를 마시면서 친구들과 한국 문학의 미래에 관해 논했다. 강남의 술집에서 발음하기 어려운 이름의 칵테일을 홀짝홀짝 들이켜면서 이상한 고양감에 취하기도 했다. 그러다 집으로 갈 시간이 다가오면 초조하고 불안해졌다. 그건 이제 높은 굽의 구두에서 내려와 진짜 현실로 돌아가야 할 시간이 되었다는 뜻이었다.
나는 고시원의 입구에 서서 한참을 망설였다. 새로 산 구두를 넣을 신발장조차 없는 작은 방. 어둡고 습하고 이상한 냄새가 나는 답답한 공간. 저릿한 발목을 붙잡으며 이게 다 무슨 소용이람, 하고 중얼거렸다. 나에게 이런 사치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차라리 그 돈으로 전공 서적이나 살 걸 그랬다고 생각했다. 허영과 아둔함을 질책하면서 상실감을 공기처럼 들이마셨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 시절을 청춘의 기록으로 미화할 수 있는 것은 아마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는 뜻일 것이다. 억지로 꾸며낸 어설픈 모습도 사랑과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나는 대단한 것을 원한 것이 아니었다. 그저 수면으로 떠오르고 싶었을 뿐이었다. 가라앉지 않기 위해 동동거리는 백조의 지난한 발짓처럼 그저 최선을 다했던 것이다.
나는 세계의 표면을 멋지게 거니는 사람들을 본다. 아득한 시간을 거스르지 않고 물살에 몸을 맡기고 흘러가는 이들에게는 대체 어떠한 힘이 있는 것일까. 나는 여전히 그것이 어렵다.
그러면 발에 맞지도 않는 구두를 신고 뒤뚱뒤뚱 걸어가는 이십 대 초반의 나를 다시 떠올리게 된다. 삶의 품위를 지킨다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그것을 간절히 원했던 나를. 동시에 미숙하고 어리석은 현재의 나를 본다. 번듯한 사회적 일원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행하는 많은 일들. 삶의 주인으로 존재하지 못하고 우스운 모양으로 얼렁뚱땅 살아가는 날들. 그리하여 지금까지 한 뼘도 자라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면 이불을 뒤집어쓰고 어린애처럼 울고 싶어진다.
이제는 묵묵히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관처럼 답답한 고시원을 떠난 지 오래되었지만 나를 가두는 이 거대하고도 좁은 세계를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통속적인 삶을 살아내는 동안에는 필연적으로 자꾸만 초라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니 거대한 파도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 경박한 몸짓으로 허우적거리는 오늘을 사랑하기로 마음먹었다. 그것이 지금을 살아내는 가장 우아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