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초보자의 마음으로

등록일 2021-08-17 20:19 게재일 2021-08-18 16면
스크랩버튼
무언가에 능숙해지면서도 초보의 마음을 잃지 않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pixabay

코로나 19로 인해 멈춰있는 상태지만 꽤 오랫동안 운영했던 클래스가 하나 있다. 이름하여 ‘강백수의 작작 클래스’. 여기서 작작은 작사와 작곡이다. 노래를 한 번도 만들어 본 적이 없는 사람들에게 태어나서 처음 자신만의 자작곡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는 수업인데, 수십 명의 수강생이 첫 자작곡을 완성했다. 사실 수강생들에게 내가 해 주는 것은 별로 없었다. 작곡이라고 해봐야 간단한 코드 몇 개를 알려주고 그에 맞추어 멜로디를 자유롭게 흥얼거리도록 했을 뿐이었고, 작사라고 해봐야 자신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적은 글을 멜로디에 맞게 다듬는 것 정도만 알려주었을 뿐이다. 그런데 의외로 당장이라도 훔치고 싶을 만큼 참신하고 기발한 곡들이 많이 나왔다.

그 중에 특히 재미있었던 곡들을 조금 꼽아보자면, 스물 다섯 살 연극배우 Y와, 여행을 사랑하는 자유로운 싱글, H누님의 노래들이 먼저 생각난다. Y는 “너는 애가 매사에 왜 그렇게 어중간하니?”라고 비아냥거리는 한 선배에게 “그래, 나 어중간하다. 심지어 좋아하는 숫자도 어중간하게 ‘5’야. 그런데 그가 뭐 어때서? 어중간 한 게 아니고 적당한 거거든?” 이라고 발칙하게 대드는 노래를 만들었다. 그리고 H누님은 나를 디스하는 곡을 만들었다. 누님은 노래 속에서 ‘수업에 오면 다 초짜들만 있을 거라고, 누구나 쉽게 기타와 작사 작곡을 배울 수 있다고 해서 수업에 들어왔건만, 나만 빼고 다 잘하는 것 같고 이 놈의 F코드는 왜 이렇게 안눌러지냐’고 따졌다. 노래의 킬링파트는 ‘강백수 뻥쟁이’라는 가사였다.

이 노래들을 비롯해 재기발랄한 노래들이 정말 많다. 수업 마지막에는 스튜디오에 가서 각자의 창작곡들 레코딩하기도 했는데, 그 결과물들이 담겨있는 내 컴퓨터 속 어느 폴더는 그야말로 보물창고 같다.

그들이 이렇게 보석같은 자작곡들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오히려 그들이 초보자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음악가가 아니기 때문에 잘 해야 한다는 욕심으로부터, 그리고 남들이 이 음악을 좋아해 주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을 것이다. 대중의 반응을 미리 예상하고 의식하며 노래를 만들어야 하는 나와는 달리 그냥 맘이 이끄는 대로 흥얼거리고 이야기할 수 있기에, 판에 박힌 노래가 아니라 정말 세상에 단 하나뿐인 색깔로 빛나는 노래들을 빚어낼 수 있었던 것이다.

가끔은 무언가 능숙하게 해내려고 애쓰는 것보다, 초보자의 마음으로 돌아가 그저 본능에 맡기는 것이 필요한 때가 있다. 이노우에 다케히코의 만화 ‘슬램덩크’의 주인공 강백호는 농구를 시작한지 몇 달 밖에 안된 풋내기로 나온다. 강백호가 속해 있는 북산과 강호 능남의 전국대회 도 예선 최종전, 초보자 강백호 덕분에 북산은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그야말로 한 골로 승부가 결정될 수 있는 그 때, 능남의 에이스이자 농구천재인 윤대협은 골밑을 날카롭게 파고들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거기에 다른 선수를 마크하고 있었어야 할 강백호가 있었다. 강백호에게 공격을 차단당한 윤대협은 다시 공을 잡고, 이번에는 센터 변덕규에게 기가 막힌 패스를 뿌렸다. 변덕규를 마크하던 채치수가 한 발 늦었다고 느낀 순간, 또다시 강백호가 나타나 변덕규의 슛을 블로킹 해냈다. 강백호야말로 북산의 불안요소라며 승리를 확신하던 능남의 유명호 감독은 놀라서 외쳤다.

“어째서 강백호가 거기에 있는 거냐!”

강백수세상을 깊이 있게 바라보는 싱어송라이터이자 시인. 원고지와 오선지를 넘나들며 우리 시대를 탐구 중이다.
강백수세상을 깊이 있게 바라보는 싱어송라이터이자 시인. 원고지와 오선지를 넘나들며 우리 시대를 탐구 중이다.

강백호는 그저 초보자답게 몸이 이끄는대로 공을 따라 움직였을 뿐이다. 그런데 이렇게 제멋대로인 플레이 덕분에 천재 윤대협의 파상공세를 막아낼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 우리는 사람들의 허를 찔러야 한다. 모두의 예상을 뛰어넘는 결과물을 내어 놓고 싶다. 그런데 때로는 우리의 능숙함이 오히려 그것을 방해할 때가 있다. 글을 쓰고 노래를 만들다 보면, 어쩐지 이 대목쯤에서는 남들 다 하는 기교를 한 번 넣어 줘야 할 것 같고, 이런 이야기는 대중들이 좋아하지 않을 것 같다며 자기검열을 해버리는 때가 있다. 이런 식으로는 참신한 결과물이 나올 수 없다는 걸 알지만, 그로부터 자유로워지기가 쉽지 않다. 가끔 그런 것들에 사로잡힐 때, 거기서 벗어나야겠다는 생각이 들 때 나는 작작클래스 수강생들의 어설픈 자작곡을 찾아 듣곤 한다. 능숙해지면서도 처음의 그 대책 없는 과감함을 지켜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