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광복절을 앞두고 서예 퍼포먼스의 대가 쌍산 김동욱 서예가가 광복 76주년 기념 및 울릉 독도 수호 서예 퍼포먼스를 펼쳤다.
쌍산 김동욱 서예가는 12일 오전 10시 포항 기계면 새마을 기념관(관장 정인화) 앞에서 광복의 기쁨을 서예로 표현하는 광복 76주년 기념과 아직도 온전한 광복을 이루지 못한 독도 수호 서예 퍼포먼스 행사를 마련했다.
이번 서예 퍼포먼스는 광복 76주년을 기념해 광목 길이 76m에 ‘아직도 울릉 독도 침탈 야욕을 버리지 못한 일본 정부를 강력히 규탄하며 독도 역사 왜곡하면 일본 역사도 왜곡된다.’라고 썼다.
또 ‘일본 정부는 독도 역사 철회하라, 철회하라’고 대형 붓으로 글을 썼다. 이와 함께 다른 광목에는 ‘대한독립 만세’를 써 독도와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기게 했다.
이날 행사에서 이희숙 살풀이춤 보존회 회장이 참여해 글을 쓰는 동안 독도를 위해 일하다 숨진 경찰관 독도에서 조업하다 미국 폭격으로 사망한 어부에 대한 위령 살풀이로 영령을 달랬다.
한편, 쌍산은 개천절을 앞두고 지난달 16일 대구 유네스코 학생회와 함께 독도를 방문 대형 광목에 '대한민국 헌법 1조 1항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여기는 대한민국 독도' 등의 글로 독도 수호 퍼포먼스를 했다.
또한, 지난 2일 경주 감포 바닷가에서 독도 수호 및 일본 규탄 바디 페인팅 퍼포먼스 행사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울릉 독도 수호와 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쌍산은 지금까지 26회 울릉 독도 현지서 독도 수호퍼포먼스 행사와 전국적으로 독도 지킴이 독도 사랑 퍼포먼스 140여 회 및 1천600여 회의 사회공헌 적 행사를 했다.
/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