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의원, 문체부 자료 입수<br/> 5월 관련 회의 참석했던 공무원<br/>“지역 감안 땐 과열 따른 부작용”<br/> 가이드라인 다를 바 없는 언급<br/>“지자체 우롱해”… 재검토 여론
대구시가 강력하게 유치를 희망했던 이건희 미술관 관련 회의에서 문체부가 지방배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사실이 드러나 원점 재검토 여론이 일고 있다.
국회 문체위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대구 북구을) 의원은 11일 “문체부로부터 받은 이건희 미술관 관련 회의 자료에 따르면 문체부가 개최한 9번의 회의 중 3차 회의 당시 이미 문체부 공무원 중심으로 이건희 미술관 지역공모는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고 진행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폭로했다.
김 의원은 “특히 이날 회의에서 문체부가 지자체간 과열을 우려하며 2016년 국립한국문학관 지방 공모 실패사례를 언급한 것은, 미술관 건립부지 논의 때 ‘지방은 철저히 배제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사전에 제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는 철저히 지방을 배제하고 결정 내린 ‘답정너’식으로 유치전에 뛰어든 전국 40여곳 지자체와 지방에 사는 국민들을 우롱한 처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당초 문체부는 지난 7월 7일 이건희 소장품 활용방안과 관련해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문체부는 이건희 컬렉션 기증품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운영해왔고, 10여 차례 논의를 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문체부가 김승수의원실에 제출한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방안 회의’자료에는 회의수 총 9회로 명시돼 있으며, 1회에서 4회까지는 전체 전문가 위원회가 구성된 것도 아닌 문 대통령 문화비서관 출신 1인을 포함한 전문가 위원 2명과 문체부 담당 공무원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지난 5월 14일 문제가 된 3차 회의에서는 문체부 해당 부서의 실장, 국장, 과장뿐만 아니라 이례적으로 실무진까지 모두 참석한 자리에서, 특별관 건립 필요성에 대해 한 관계자가 “건립 부지선정은 모든 가능성을 두고 검토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지역 요구를 감안해서 선정 공모할 경우 과열 경쟁에 따른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라며 지방 건립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을 못박았다. 더욱이 문체부로 추정되는 한 관계자는 “2016년 국립한국문학관 건립 추진 시 지자체 과열경쟁으로 공모가 한 달 만에 중단된 바 있다. 유족측이 지역 맥락에 따라 별도로 5개 지역 미술관에 기증한 바 있어 특정지역 건립은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해 문체부가 사실상 지방 배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 의원은 “정부는 공정한 공모를 통해 건립이 결정될 수 있도록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