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2년 새 암환자 9명… 사드배치 위험 현실로”

나채복기자
등록일 2021-08-04 20:39 게재일 2021-08-05 4면
스크랩버튼
  김천사드반대대책위·단체들<br/>  대구 민주당사 앞서 기자회견<br/>“정부·주한미군, 전자파문제 기만”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김천지역 시민단체가 사드 배치 후 인근 마을에서 암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며 대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드배치반대 김천시민대책위원회와 사드철회평화회의 등 8개 단체는 4일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정부의 불법적인 사드 운용이 이뤄진 뒤 사드 레이더 인근 마을에 암 발병 사례가 늘어났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2017년 사드가 임시 배치된 이후 사드기지에서 가장 가까운 마을이며 사드 레이더가 바라보는 방향에 있는 김천시 농소면 노곡리 마을에서는 최근 1∼2년 사이에 암 환자가 9명 발생했고 이 중 5명은 사망했다”며 “김천에서도 끝자락이며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오염 요소가 적은 지역으로서는 이례적인 일”이라고 강조했다. 박태정 노곡리 이장은 “100명이 채 되지 않은 마을에 10년에 1∼2명 나올까 말까 한 암 환자가 최근 1∼2년 사이에 9명이나 발생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이들 단체와 주민 등은 암 환자 발생과 사드 배치의 인과성에 대해 미국 연방항공청(FAA)이 괌에 배치된 사드 레이더 전자파의 유해성과 관련해 접근 금지 구역을 설정했다는 관보 내용을 근거로 들었다.


FAA는 지난 2019년 3월 21일자 해당 관보에서 사드 시스템의 위험성에 관해 “사드 시스템이 작동할 시 군용과 민간 항공기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고, 시스템이 발산하는 전자파는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며, 전자 장비에도 전자파가 관여하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 단체는 “주민들이 우려해 왔던 사드 전자파의 위험성 문제가 드러난 것”이라며 “그런데도 정부와 주한미군은 사드 기지의 레이더 전자파가 ‘휴대전화가 기지국을 찾을 때 나오는 전자파보다 작은 수준’이라며 기만했다”고 비판했다. 김천/나채복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