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소를 돌아 구룡포로 향했다. 근대문화역사거리에 자리한 ‘우전’ 향이 좋은 찻집으로 가는 여정이다. 봄비가 내리는 곡우 즈음 딴 첫 잎을 비가 주인공인 여름에 천천히 우리기로 했다. 호미곶 둘레길은 드라이브하기에 아름다운데 7월이 시작될 때 특히 어여쁘다. 노란 부채 같은 꽃을 한껏 펼쳐 든 모감주나무 가로수 덕분이다. 장맛비가 활짝 핀 꽃잎을 떨구어 길이 노랗게 물들었다. 모감주 군락지 위로 보슬비가 오락가락하니 물안개도 피어오른다.
근대문화역사거리의 밤은 고요하다. 낮 동안 사람들의 수런거림이 어스름이 내려앉을 때 함께 썰물처럼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거리도 찻집도 우리만의 것이 된다. 우전이 연둣빛으로 우러나는 향만이 사위를 채운다. 찻잔에 산수화가 그려져 있다. 두 개의 산이 둘레를 감싸고 산을 향해 기러기 떼가 날아간다. 찻잔 중심에 어부가 나룻배에 노를 젓고 있다. 차를 따르면 연한 물빛이 호수에 가득 차올라 한 폭의 그림이 완성된다.
우전이 향을 더하기 위해서는 이야기보따리가 필요하다. 동해에는 오래전부터 살았던, 아마 지금도 어느 곳에선가 머물며 바다를 지키고 있는 용의 전설들이 가득하다. 아홉 마리의 용이 헤엄치며 놀았던 동해면 구룡소, 열 마리의 용이 하늘로 오르다, 한 마리는 끝내 오르지 못하고 떨어진, 그래서 구룡포라는 이름이 된 곳, 오늘 이곳에서 우전의 향을 깊게 한 용 이야기는 감포의 사용굴 단용굴에 사는 다섯 마리 용의 전설이다. 동해에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길동무해서 걷는다는 해파랑길 코스 중에 감포 깍지길에 숨어 있는 명소이다.
사룡굴에는 동서남북을 지키는 청룡, 백룡, 적룡, 흑룡 등 네 마리가 살았고, 단용굴에는 감포 마을을 지키는 황룡이 살고 있었다. 연기를 좋아해 향로가 되고 싶었던 황룡은 사람들의 영혼이 하늘로 올라갈 때 좋은 연기를 피워 줄 수 있는 향로가 되고 싶었다. 용 한 마리가 연꽃 봉우리를 물고 있는 백제 금동대향로가 떠올랐다.
이들 다섯 마리 용은 일본으로부터 나라를 지켰고 마을의 길흉화복을 점쳐 보호해 주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문무대왕이 죽어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고자 한 뜻이 동해에 사는 용들에게 흩뿌려져 임진왜란 때는 이 용굴 속에서 많은 사람이 몸을 피할 수 있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으로 강제 징용당해 붙들려 갈 뻔했던 오누이가 이 속에 숨어 위기를 모면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이곳은 또 다른 전설이 있다. 하늘나라에서 죄를 지어 추방된 용이 용굴에서 옥황상제가 다시 불러줄 때를 기다리며 수양을 하고 있었다. 늠름한 용의 모습에 반해버린 바다 곰이 수양하는 용을 위해 이무기들을 물리치면서 굴 입구를 지키는 수문장 노릇을 했다. 또 바다 곰은 용의 배고픔을 해결하는 등 천 일이나 밤낮없이 자맥질하며 보살폈다. 그러나 옥황상제의 용서를 받은 용은 바다 곰을 외면하고 승천해 버렸다. 바다 곰은 하늘만 바라보며 누운 채 식음을 전폐하고 기다리다 그대로 돌이 되어버렸다고 한다. 진심을 다해 용 이야기 한 부분을 장식한 곰바위도 찾아보라는 당부도 곁들였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옛 기록에는 이밖에도 용에 관한 기록이 자주 등장한다. 처용가로 잘 알려진 처용은 동해 용왕의 일곱 아들 중 하나이다. 수로부인이 용에게 납치됐을 때 백성들은 ‘해가(海歌)’라는 노래를 함께 불러 수로부인을 구해 냈다. 용에 관한 기록이 이처럼 많은 것은 우리나라가 오래전부터 농경 문화권에 속해 왔다는 사실과 관계가 깊다. 용은 바다나 강, 연못, 늪 같은 물속에 살며 비와 바람 같은 여러 가지 기상 현상을 관장한다는 신격화된 상상의 동물이다. 바다에서 일어나는 회오리바람의 모습이 승천하는 용과 같다고 해서 용오름 현상이 용을 상상하게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용의 전설까지 녹여서 차를 마시고 찻집을 나서니 밤이 깊었다. 근대문화역사거리에 깔린 조명이 용의 비늘같이 반짝이며 우리 발길을 안내한다. 밤마실을 끝내고 돌아가는 발걸음까지 지켜주는 듯했다. /김순희(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