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삼복더위에 삼복(三福) 짓고

등록일 2021-07-11 19:14 게재일 2021-07-12 18면
스크랩버튼
윤영대수필가
윤영대수필가

34년 만의 ‘지각 장마’가 잠시 멎으니 뜨거운 삼복더위가 몰려온다. 삼복은 가을 기운이 오다가 무더위에 세 번 엎드린다는 뜻으로 24절기는 아니다. 초복은 하지 이후 세 번째 경일(庚日)로 올해는 7월11일, 중복은 네 번째, 그리고 말복은 입추 후 첫 번째 경일인데 그달을 넘기면 월복(越伏), 안 넘기면 매복(每伏)이라고 한다.

이제부터 한낮 기온은 30℃를 오르내리며 우리 몸도 더위에 지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예부터 삼복에는 이열치열(以熱治熱), 즉 열로 열을 다스린다고 여러 가지 ‘복달임’을 해왔다. 지금은 사라지고 있지만 보신탕이라고 개장국을 찾아 먹었고 요즈음은 삼계탕이 대세다. 어린 닭의 뱃속에 찹쌀과 함께 인삼, 대추, 마늘을 넣고 푹 삶아 먹는 맛이 한여름의 보양식으로는 으뜸이다. 장어도 구워 먹고 전복죽도 끓여 먹으며 몸을 다스리기도 한다. 또 시원한 콩국수도 좋고 벽사의 효험을 바라며 팥죽을 먹기도 하며 수박과 참외를 먹으며 더위를 식힌다.

삼복더위는 하지 때 시작하여 유두(流頭)를 지나 백중(百中)날 무렵에 한풀 꺾인다. 이 무더위에 잠자리도 호박잎에 앉아서 쉰다고 하니 무리하지 말고 휴식도 취하자. 코로나 재확산으로 가족과 벗들과 마음껏 나들이도 못 하겠지만 휴가철을 맞아 바캉스도 즐겨야 할 것이니 북적대지 않고 조용한 곳, 시원한 물가를 찾아 천렵이나 탁족을 하거나 폭포수로 물맞이하며 무더위를 피해 보는 것도 ‘복놀이’다.

잠잠해지던 코로나19가 델타 변이까지 번지면서 우리 생활에 또다시 혼란을 가져오고, 하루 확진자가 1천300명 이상으로 급증하며 수도권엔 거리두기 4단계로 격상되었다. 비록 체온 가깝게 더워지는 날씨에 불편하겠지만 방역대책을 잘 지켜서 안전한 사회를 이끌어 가는 데 마음을 합쳐야 한다. 짜증 나는 뉴스들이 눈과 귀를 어지럽히고 피곤하게 하더라도 맑고 푸른 자연을 떠올리며 서로의 마음을 정화시켜 나가는 방법도 찾아야겠다.

속담에 ‘삼복더위에 소뿔도 꼬부라든다’라고 했으니 옛날 선풍기도 에어컨도 없던 시절, 원두막에 앉아 더위에 풀이 죽어있는 소들을 보며 애처로웠을 테고, ‘삼복지간에 입술에 붙은 밥알도 무겁다’할 정도로 힘이 빠졌으리라. 코로나 바이러스는 밀폐된 공간에서 확산이 잘된다고 하니 에어컨 바람도 조심해야 하며 덥더라도 자주 환풍을 시켜야 할 것이다.

이 삼복의 계절엔 뜨거운 폭염이 땅을 달구고 폭우가 자주 내리붓고 또 폭풍을 몰고 오는 태풍도 올해는 1~3회 예보되고 있다. 국지성 호우에 산사태나 침수와 같은 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폭염·폭우·폭풍의 삼폭(三暴)이 몰려오는 삼복더위에 짓눌리지 말고 나만의 생각으로 세 가지 복, 삼복(三福)을 지어보자. 첫째 복은 코로나 감염을 피하는 건강복일 테고 두 번째는 사람 복, 거리두기로 뜸해진 만남도 비대면으로나마 자주 얘기를 주고받으며 인복을 쌓고 세 번째 마음의 복, 그 맑은 심복을 지어보자.

시골집 대문 옆 능소화가 곱게 피었다. 뒷밭의 대나무로 죽부인을 만들어 껴안고 참숯 베개를 베고 누워 시원한 여름을 보내고 싶다. 삼복더위와 코로나 사태, 이 또한 지나가리라.

월요광장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