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지진 시민대책위 역할 아직 안 끝났다”

등록일 2021-07-08 18:51 게재일 2021-07-09 19면
스크랩버튼
포항시가 그저께(7일) ‘포항11·15촉발지진범시민대책위원회(범대위)’ 집행위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지진피해 보상과 관련해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를 가졌다. 피해신청 접수가 오는 8월 31일 마무리되는 점을 고려해, 집행위원들의 건의사항과 피해주민들의 추가적인 민원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여서 시민들의 관심을 끈 간담회였다. 사실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에 의해 촉발된 것으로 밝혀지게 된 것은 범대위의 역할이 컸다. 범대위는 지난 2019년 3월 지진피해 회복을 위한 대정부 협상 창구 일원화와 지진피해 특별법 제정 운동 등을 위해 시민단체들이 중심이 돼 자발적으로 구성됐다. 범대위를 중심으로 포항시민 1천여명은 국회 앞에서 ‘포항지진 특별법 제정’ 촉구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전국적인 주목을 받은 이날 시위에서 범대위는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포항 지진이 정부의 지열발전소 건설이 원인임이 밝혀진 만큼 정부와 국회가 책임의식을 가지고 피해 배상 등의 내용을 포함한 특별법 제정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대공·공원식 공동위원장을 비롯한 집행위원 20여명에게 포항지진 피해회복을 위해 애써온 점에 대해 감사를 표하면서, 지진피해구제 접수 및 지원금 지원현황과 지열발전소부지 안전관리사업 추진 등 지진피해구제 주요현안에 대해 설명했다. 집행위원들은 “피해주민들의 완전한 피해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항시가 지속적으로 노력해주기를 바란다. 앞으로도 범대위는 완전한 피해극복을 통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가기를 염원하는 포항시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집행위원들의 말처럼 포항시민들은 여전히 지진의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포항지진은 국내 지진 사상 최대의 피해를 기록했다. 타 지역민들은 잊어버릴 수 있겠지만, 포항시민들에겐 4년 전의 지진이 아직도 진행 중이다. 특히 포항지진은 지열발전소 측이 수많은 전조 증상이 있었을 때 공사를 멈췄다면 피할 수 있었던 재해라서 시민들에겐 더욱 깊은 상처로 남아있다. 이런 측면에서 포항시가 지열발전소 부지를 매입해 지진관련 역사·교육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을 세우는 것은 잘하는 일이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