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경산시가 만성질환의 경계 지대에 있는 건강 위험군에 영양·운동·건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스스로 건강한 생활 습관에 자가 건강관리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개인 주도형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보건소는 지난 5일부터 건강검진 결과 질환 전 단계로 혈압·혈당이 높거나 복부 비만 등 만성질환 위험요인을 1개 이상 가진 만 19세 이상 경산시민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사업을 시작했다.
대상자는 총 3회 보건소를 방문해 맞춤형 건강관리 목표설정과 상담·검진을 받고 모바일 앱으로 운동·식사 등의 생활 습관 개선 목표를 이행할 수 있도록 관리를 받는다.
시는 의사와 간호사, 영양사, 운동전문가 등으로 6개월간 대상자의 스마트폰 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헬스케어사업은 그동안 보건소 건강생활실천 사업 등에 참여도가 높지 않았던 청장년층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등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뇌졸중,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건강관리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안경숙 경산시보건소장은 “모바일 헬스케어사업은 방문객 중심의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건강관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라며 “시민의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자가 건강관리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