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등대가 부는 피리

등록일 2021-07-04 18:22 게재일 2021-07-05 16면
스크랩버튼
소나무 숲 끝자락에 펼쳐진 등대.

무엇이든 오래된 곳으로 가자 하니 잠시 생각하던 남편이 알겠다는 듯 차를 몰았다. 길을 안내하는 내비게이션에 찍힌 목적지는 감포항이었다. 이 사람이 내 마음을 꺼내 보았나? 어제, 그제 나는 감포항을 그린 그림을 보고 왔다. 경주예술의전당에 화가 손수택이 그린 ‘감포 풍경’이 전시 중이다. 고흐전을 보러 갔다가 맞은편 전시실에 또 다른 전시회가 있다 해서 우연히 옮긴 발걸음 끝에 발견한 작품이었다. 초가지붕이 바닷가 산자락으로 다닥다닥 붙어선 1958년의 감포항이 나를 그림 앞에 한참 머물게 했다. 그때도 사람이 많이 모여들었던 번성한 항구였구나 싶어 몇 채나 되나 눈대중으로 가늠해보았다.

그림 속 초가는 다 사라진 항구에 다다랐다. ‘소나무가 펼쳐진 끝자락’이란 뜻의 송대말 등대였다. 겉모습부터가 특별한 한옥의 모습이다. 수령이 몇백 년은 돼 보이는 소나무 사이로 기와지붕에 탑 모양의 등대를 머리에 인 등대가 보였다. 포항에 사는 덕분에 등대는 아무 때고 만나지지만 한옥으로 지어진 것은 처음이다. 송대말은 해송 군락지이다. 이곳을 한국관광공사에서 ‘사진 찍기 좋은 녹색 명소’로 지정했다는 명패 앞에서 나도 사진을 찍었다.

등대 둘레에 데크를 따라 바다 쪽으로 발길을 옮기니 오래전 이곳에서 기념촬영을 했던 이들의 사진이 붙었다. 1943년에는 두루마기를 입은 어르신이, 1944년에는 검은 제복의 동료끼리, 1972년에는 단발머리 감포중학교 여학생들이 흑백사진으로 이곳에 소풍을 왔었다고 알려준다. 1986년의 등대와 감포항의 모습에는 색깔이 덧입혀져 감포항의 지난 세월을 함께 전해준다.

등대 아래에 바닷가는 바위섬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파도의 간지럼을 타느라 하얗게 까르르 거렸다. 그렇게 밀려온 파도는 바위 사이를 드나들 수 있고, 튜브를 탄 아이들은 안전하게 떠내려가지 않게 막아주는 턱이 놓인 풀장이 있었다. 수년 전 남편은 친구들과 이곳에 와 물놀이를 했다고 했다. 자연 풀장인가 했더니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주상절리 바위와 바위 사이에 시멘트 구조물을 세워 축양장을 만들었던 것이었다. 거기에 어민들이 잡아 온 가자미, 전복, 광어, 고래, 돔 등을 보관했다. 담을 높게 만들어 물개도 키웠고 지붕을 만들어 덮어 뒀다. 축양장 위쪽 바위에는 화양정이라는 정자를 만들어 다다미방 열 칸을 만들어 바다와 솔숲으로 이어진 길을 오가며 망망대해를 감상했다. 정자에 앉아 횟감을 골라 먹으며 한국 색시에게 수발을 들게 했다. 그 여인이 ‘아리’라는 여인이다. 그녀와 사랑에 빠진 하야시는 해방되자 본국으로 데려가려고 했다. 배가 떠나려는 순간, 그녀의 오빠가 나타났고 아리는 총으로 하야시를 쐈다. 오누이는 독립운동 중이었고 그동안 시중을 들며 번 돈은 독립자금으로 사용했다는 아픈 이야기가 이곳에 전한다.

일본인들은 축양장 해산물을 일본으로 수송하는 과정에서 선박사고가 잇따르자 암초 위에 등간(燈竿)을 설치했다. 그들이 물러난 뒤 감포 어업협동조합원들은 새로운 등간을 설치했다. 감포항을 이용하는 선박이 날로 늘어나 정부는 1955년 어민들의 안전을 위해 송대말에 무인등대를 점등했다. 2001년 12월에 유인등대로 변경된 후, 해양수산부가 다시 2018년 11월에 무인으로 전환했다. 경주시는 이제 송대말 등대를 해양역사문화 공간으로 새롭게 단장 중이다. 올 10월이면 사람들에게 개방할 것이라 한다.

감포라는 명칭은 지형이 감(甘)자 모양으로 생겼고 또 감은사가 있는 포구라 하여 감은포라 부르다가 음이 축약되어 감포가 되었다. 송대말 등대에서 감포항구를 내려다보면 다섯 개의 등대가 한 눈에 담긴다. 이름의 유래를 담아 항구에 감은사 탑을 음각한 등대를 두 개 세웠다. 하얀 등대에 감은사 삼층탑을 파냈더니 그 속에 파란 바다가 들어앉는다. 다른 방향에서 보면 푸른 하늘이 들어오기도 해 구름 떼가 넘실대기도 한다. 뻥 뚫린 삼층탑 사이로 휘익 바람이 지난다. 만파식적의 음파가 송대말 등대까지 들려온다. 마음이 평온해진다. /김순희(수필가)

무엇을 기억한다는 것에 대하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