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지난 24일 낙동강유역 물관리위원회를 열고 대구의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이 가능한 취수원 다변화를 골자로 한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을 심의 의결했다. 이로써 10년 넘게 끌어왔던 대구와 구미 간 낙동강 상류 취수원 공동이용을 둘러싼 대립이 사실상 해결점을 찾았다. 대구의 구미 해평취수원 이전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아직 없진 않지만 해평면 주민이 정부안을 받아들이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함으로써 이 문제는 이제 낙관할 만하게 됐다. 이와 관련, 대구시는 “구미 발전을 위해 지속 지원하겠다”고 약속했고 구미시는 “구미시민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오도록 노력해 달라”고 밝혀 양 지역의 수용 입장도 확인됐다. 이제 정부는 일부 반대의견을 설득하는 한편 안전한 물을 공급하는 데 중점을 두고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이번에 밝힌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정책은 두 가지 측면에서 진행된다. 하나는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산업단지 유입의 오염물질을 고도처리 방식으로 처리해 낙동강 물을 안전하게 만들겠는 것이다. 2030년까지 낙동강 주요지점 수질을 2급수 이상으로 개선토록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또 하나는 취수원 다변화로 영향을 받는 지역주민의 피해가 없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상생발전기금을 조성해 영향지역에 지원하며 영향지역의 농축산물을 우선 구매, 지역주민 소득 증대에 지원한다는 것이다. 대구시의 상생기금 100억원 지원 내용도 있다.
대구와 구미 간에 오랜 시간 대립한 낙동강 상류 취수원 공동이용이 이번에 해결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대구시민은 91년 낙동강 페놀 유출사건 이후 낙동강 수계를 통한 오염 문제에 항상 민감해 왔다. 이번 취수원 이전 결정은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대구시민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문제를 해결한 것만큼이나 반가운 소식이다. 또 이 문제가 대구와 경북이 상생 길을 찾는 데 의견을 같이하는 계기가 됐다는 것도 또 다른 의미다. 지금부터 환경부의 계획대로 안전한 물을 공급하는 데 모든 노력이 경주돼야 한다. 안전한 물 공급이 이뤄지지 않으면 그간의 모든 결정은 허사가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