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국립중앙의료원이 중앙감염병전문병원으로 지정된 이후 호남권에 조선대학교병원, 중부권에 순천향대천안병원, 경남권에 양산부산대병원이 지정된 데 이어 전국적으로 다섯 번째다.
감염병전문병원은 감염병의 연구와 예방, 전문가 양성 및 교육, 중증환자의 집중진료 및 치료를 위한 정부 차원에서 시행하는 공공의료 구축사업이다. 이번에 선정된 칠곡경북대병원에는 감염병전문병원 건립에 따른 건축비 756억원 가운데 400여억원이 국비로 지원된다. 대구경북에서는 계명대 동산병원, 영남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등이 공모에 참여했으나 칠곡경북대병원이 낙점을 받았다.
특히 지난해 2월 대구지역 코로나 사태 때 민간의료기관임에도 코로나 환자 치료를 위해 병원을 통째로 내놓았던 계명대 동산병원의 선정이 기대되기도 했으나 공공성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칠곡경북대병원이 최종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한다.
중국 우한발로 시작한 코로나19 사태가 1년 이상 지속되면서 전 세계는 감염병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세계적으로 1억8천여만명의 코로나 환자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목숨을 잃은 이가 390만명에 달한다. 국내서도 15만2천여명의 누적 확진자가 발생했고, 2천명이 넘는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현재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도발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발전해 확산세를 뻗치는 등 여전히 기세를 떨치고 있다. 또 변이를 통해 날로 감염 속도를 높이는 추세에 있어 경각심을 잠시도 늦출 수 없는 처지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의 확산은 앞으로도 인류를 위협할 중대 질병으로 주목되고 있으며 지구적 차원의 대응도 시급한 분야다. 이런 세계적 추이를 고려한다면 경북권 감염병전문병원 설립은 지역을 위해서도 매우 바람직하며 의미 있는 일이다. 대구와 경북을 아우르는 감염병 전문기관으로서 그 역할에 거는 기대도 많다.
대구경북은 코로나19를 가장 일찍 많이 체험한 도시이면서 수준 높은 시민의식으로 감염병 위기를 잘 극복한 경험이 있다. 이번 전문병원 설립을 계기로 지역의료계의 축적된 노하우가 더 빛나 감염병 예방에 있어 신기원을 기록하길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