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이후 우리는 언론 본연의 사명과 대구·경북의 발전이라는 존립 가치를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해왔다고 자부합니다. 수많은 사건 사고 현장과 정치·사회적인 갈등 속에서 언론의 사명을 다하기 위해 총력을 쏟았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담은 신문, 지역민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신문, 대안이 담긴 신문이 되기 위해 이른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뛰었습니다.
서울과 지방의 차이는 있겠지만, 현재 우리 신문업계는 전반적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지난해 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유행이 종식되지 않으면서 상당수 신문사가 지면 감면, 유·무급 순환휴직 등을 통해 경영난을 견뎌내고 있습니다. 특히 비수도권 신문사들은 코로나19 여파로 지역행사나 이벤트가 취소되면서 광고·협찬수입이 대폭 감소한데다, 각종 사업도 불가능해져 설상가상의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이런 상태에서 정부는 언론장악에 혈안이 돼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미디어혁신특별위원회는 언론사가 거짓뉴스를 내보낼 경우 최대 5배 손해배상을 물리는 법안을 이번 임시국회에서 통과시킨다고 합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신문사의 여론형성 기능이나 뉴스제공을 육성하고 지원해야 할 중요한 산업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신문사가 매일 아침 내놓는 지역의 의제나 뉴스는 공공재(公共材)입니다. 공공재 가격을 시장기능에만 맡겨놓아선 안 됩니다.
우리가 지역을 대변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균형발전을 외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대구·경북 시·도민들입니다. 경북매일신문은 앞으로도 시·도민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데 전심전력을 기울이겠습니다. 시·도민들과 독자께서는 따뜻한 격려와 함께 때로는 매서운 질책으로 우리의 앞길을 올바르게 이끌어주시길 바랍니다. 급변하는 언론 환경 속에서 경북매일신문 임직원들은 또 다른 출발점에 서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변함없는 사랑으로 길동무처럼 경북매일신문을 지켜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