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철강재 가격 미쳤다는데 정부 대응책은 없나

등록일 2021-06-09 19:17 게재일 2021-06-10 19면
스크랩버튼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철강재 가격 상승세가 지금도 진행형이다. 시중에는 철강재 가격이 미쳤다는 말까지 나돌고 있으나 물건은 여전히 품귀현상을 빚고 가격 상승은 멈추지 않는다. 지금과 같은 철강재 유통 흐름이 계속된다면 건설과 건축은 물론 기계, 전기, 전자 등 산업계 전반에 타격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건축공사 현장의 핵심 자재인 철근은 품귀현상을 빚으면서 전국 건설현장을 비상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아파트 건설 등 철강재 수요가 많은 대구·경북의 건설 현장도 철근을 제때 못 구해 공사를 중단해야 할 형편이다. 이제 막 공사를 시작해야 할 현장은 적자 또는 무수익을 각오하고 공사를 할 것인지 말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는 것이다.

철강재 가격이 폭등하고 있는 것은 미국과 중국의 경제전쟁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중국은 지난해 연말부터 미국의 경제분야 대중국 압박이 거세질 것을 예측하고 자구책으로 자국산 철강재의 해외 수출을 사실상 막았다. 세수제도 변경을 통해 자국의 철강제품 가격을 높이자 국제철강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국내 철강시장도 혼란에 빠져든 것이다. 작년 연말 t당 80만원 하던 철근 가격이 지금은 120만원을 줘도 구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작년 연말 이후 상승세를 보인 철강재 오름세는 지금도 멈추지 않고 있으며, 철자가 붙은 제품은 모두 두자릿 수 가격 인상을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철강재 가격이 미쳤다는 업계의 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상황이다. 또 고철업계는 고철품귀로, 철강업계는 원자재난으로, 건설업계는 철근 품귀로 각각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문제는 지금과 같은 현상이 연말에 가도 풀릴 것 같지가 않다는 데 있다. 이런 현상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조금씩 풀리고 있는 산업계의 경기상승 분위기에도 찬물을 끼얹어 걱정이다.

관련업계는 이런 현상이 반년 이상 지속되고 있으나 정부 차원의 대책이 별로 안보여 더 걱정이라고 한다. 국제시장에서의 통제력을 발휘할 수 없는 정부 입장도 있지만 그래도 사재기 등 시장교란 행위에 대한 엄격한 단속이 필요하다. 또 수급 불균형을 보이는 품목에 대해서는 업계의 생산을 독려하고 수출물량의 내수전환도 검토하는 등 정부가 앞장서 철강재 가격 안정에 나서야 한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